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것
d라이브러리
"
담가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손가락에 끼여있던 숫자는 모두 날아가버린다.그렇다고 손가락을 진흙구덩이에
담가
그 형태를 기억해두고 다른 일을 한다면 그것도 불편한 일이다. 따라서 제법 복잡한 계산을 하려면 손을 깨끗이 씻은 뒤 인적이 드문 지하방이나 뒷간에서 열심히 손자락을 꼼지락거리며 계산을 해야 했다.손으로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불편하다.② 보람:기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다.③ 한솔:꼭 물 속에
담가
야 하는데 물이 가끔 증발되므로 불편하다.④ 예솔: 온도를 재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갈릴레이와 게리케가 만든 기체온도계는 기압의 변화에도 눈금이 움직인다는 단점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참외는 화채 이외에도 쇠고기 파 고추장을 같이 버무려 끓여 먹는 지짐, 또는 간장에
담가
장아찌를 만들어 반찬으로 이용하기도 한다.참외는 수분을 90~93% 정도, 당질은 5~7% 함유하고 있어 단맛을 내고 가식부 1백g당 약 30kcal의 열량을 낸다. 또한 비타민 A와 C의 함량이 많아 1백g당 종류에 따라 1백~3천 ... ...
인간의 색소로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사람의 머리카락을 65℃의 가성소다에 3시간 동안
담가
두면 과립형 멜라닌 색소와 가수분해된 케라틴을 얻을 수 있다. 멜라닌은 피부암까지도 유발하는 해로운 자외선만 흡수하기 때문에 비타민D의 생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과립형 입자는 너무 커서 혈액에 ... ...
제염작업이 성패를 좌우 서해안 간척지의 쌀농사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계화도간척지에서도 별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침수제염은 논에 물을 오랫동안
담가
두었다가 빼내는 방법, 이 경우 최고의 제염륨을 나타내는 일수는 약 30일이며 그 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따라서 모내기 전에 침수제염을 할 경우 최소한 30일에 한번은 물을 갈아주어야 한다.이상과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여건들은 반대로 김치를
담가
먹는 것보다 상품김치를 그때그때 사서 먹으려는 성향으로 바뀜으로써 상품김치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핵가족화에 따라 맞벌이 등으로 주부가 바빠지고, 젊은 주부들이 김치담그기에 ... ...
화학 기본 개념과 원리를 철저히 이해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염산을 가해 염소를 발생시킨다. 이때 유도관끝은 물이나 아황산나트륨 수용액에
담가
둔다. B를 서서히 가열해 보자. 시간이 지나면 은백색의 금속나트륨이 흰색의 고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2Na+Cl₂→2NaCl의 반응에 의해 소금이 생성된 것이다.화학자들은 그것으로 만족할 수가 없어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용액을 섭씨영하5도 보다 낮지않게 냉각시키고 깨끗한 현미경 슬라이드를 약 30초 동안
담가
적신다. 슬라이드를 꺼내 수평으로 하여 내리는 눈 결정을 받아 몇분동안 섭씨0도 이하의 온도에 두면 용질(溶質)이 기화하여 증발한다. 시간이 좀 지나면 눈 결정도 승화하여 없어지므로 세세한 구조가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엄청난 마그마의 활동으로 인해 흔들리게 됩니다. 실내수영장의 밑바닥에 큰 공을 하나
담가
놓고 끌어봅시다. 공은 곧 수면위로 떠오릅니다. 지진이 발생할 때 바로 그와 같은 현상이 일어납니다. 마그마가 아래로 내려가면 공백이 생기고 그로인해 지층은 침하하거나 균열현상을 보이는데 이때는 ... ...
인류의 오랜숙제 해결될지도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미생물 식품이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는는 옛날부터 콩으로 만든 메주를 소금물에
담가
숙성시켜 건더기는 된장, 국물은 닳여서 간장을 만들었다.각종 음식의 조미료로 쓰이는 장류의 맛은 콩에 번식하는 메주 곰팡이의 작용에 좌우된다. 메주 곰팡이는 콩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을 만들고 ... ...
이전
10
11
12
13
1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