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양분
자양
일런드
미혼 여성
아가씨
따님
d라이브러리
"
영양
"(으)로 총 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아니지만 인체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농후한 사례도 여럿 있다. 미국의 한 회사는 콩의
영양
분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브라질산 땅콩의 특정 유전자를 콩에 삽입했다. 가축 사료용으로 만들 계획이었다. '부작용 증거' 있다 vs 없다그러나 회사측은 이 콩의 상품화를 포기했다. 브라질산 땅콩에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물이 끓으므로 물과 함께 있는 식품 은 단시간 내에 익는다. 그럼으로써 에너지와
영양
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유혹 물리치는 테플론재료가 프라이팬에 눌어붙는 것은 프라이팬 표면의 원자나 분자가 음식의 분자와 결합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해하는 것은 테플론의 특이한 성질 때문. 테플론은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안전한 시간은 그리 많이 늘어나지 않는다. 아무리 저온이라 하더라도 세포가 산소와
영양
물질을 공급받지 못한채 견딜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 문이다. 또한 신장은 저온상태로 2-3일을 보관할 수 있지만, 심장은 겨우 몇시간에 불과한 것처럼 인체 각 부분의 내한성이 다르기 때문에 저온상태를 ... ...
2. 불로불사의 꿈, 영생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인간의 수명이 1백20세를 넘기지 못한다고 전망한다. 심각한 유전적 문제가 없고 필요한
영양
소를 적절하게 섭취할 경우를 전제한 가장 낙관적인 견해다.인간은 왜 1백20세 이상을 살 수 없을까? 인간의 숙명적인 운명을 변경하려고 수많은 과학자들이 숱한 시간을 연구소에서 보냈다. 그러나 불멸의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많은 태양광선을 받아 광합성이 촉진되고, 이웃나무와 간격이 넓어졌기에 더 많은 물과
영양
분을 뿌리로부터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지상부인 줄기와 가지의 생장이 촉진됨은 물론이고 지하부인 뿌리의 생장도 왕성해져서 더 많은 잔뿌리들이 자라게 된다. 뿌리 발달이 촉진되면 흙 알갱이를 붙잡는 ... ...
식품에서 철분 찾아내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 곡류(피틴산), 채소(주석산) 등과 함께 먹으면 크게 저하된다. 또 철의 흡수는 개인의 철
영양
상태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어린이나 여성과 같이 체내 보유량이 적을 때 흡수율이 높아지고, 반대로 남성과 폐경 후 여성에서처럼 철 저장량이 높으면 낮아진다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마지막에 송편과 햇과일을 먹게 된다. 주식에서 후식까지 완벽하게 갖춰진 차례상차림이
영양
학적으로도 완벽하다니 조상들의 지혜에 다시 한번 놀랄 뿐이다.현재 전세계적으로 조상들에 대한 예를 이렇게 거국적으로 올리는 경우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한다. 중국도 제사를 지내는 집이 있기는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빠짐 없이 기록하고 새로운 물질을 발견하는데 열을 올렸다. 그런데 동료 수도승 중
영양
실조에 걸린 것처럼 몸이 몹시 야윈 사람들이 많았다. 발렌티누스는 이들의 건강을 회복시킬 약초를 찾았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그러던 어느날 발렌티누스는 쓰레기더미에서 해결책을 떠올렸다. 당시 ... ...
철통같은 방어진 구축한 인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피가 빨리 돌기 때문이다. 이처럼 혈액의 빠른 이동은 백혈구의 일종인 식세포(食細胞)와
영양
물질, 항체 등을 재빠르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열나면 철 공급 차단상처부위에는 히스타민 등의 물질 때문에 핏속의 혈장이 조직으로 스며나와 아프고, 가려우며 부어오른다. 이 또한 항체가 감염 ... ...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하면서도 '완전히 배출된다'는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불소는 필수
영양
물질도 아닐 뿐더러 완전 배출되지도 않는다. 불소는 화합력이 아주 강한 원소 중 하나이며 체내로 섭취될 경우 피 속으로 93%가 흡수된다고 한다. 그 중 대부분은 몸밖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뼈와 치아에 축적되는데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