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양분
양분
자양
일런드
미혼 여성
아가씨
따님
d라이브러리
"
영양
"(으)로 총 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도 감정을 느낀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보살펴 주지 않은 나무는 두께가 겨우 한뼘 정도다. 그리고 똑같은 화분에 똑같은
영양
분을 먹고 자랐어도, 주인이 사랑과 정성으로 키운 것과 미움과 무관심으로 키운 것은 잎사귀의 색깔부터가 달랐다. 교수님이 가져 오신 화분 두 개가 식물에게도 감정이 있다는 것을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는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시절에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국민 대다수의 염원일 만큼 단백질은 음식물의 중요한
영양
소로서 매우 친숙한 물질이다. 하지만 단백질은 음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생체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을 인간의 뇌라고 하면 단백질은 몸 전체라고 할만큼 ... ...
APEC 청소년 과학축전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이야기하면서 대류와 환경오염을 말했다. 비원에서는 한국 정원의 특성과 부용지의 부
영양
화를 막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영화당 앞에 있는 앙부일구을 보며 옛날 사람들이 해시계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파악했다. 또 연경당의 99칸 집에서는 구조의 과학성을 친구들과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이 ... ...
여름 설사 유산균 섭취가 효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십상이다. 며칠 동안 설사를 계속 하다보면 무기력해지고 활동이 둔해질 뿐 아니라
영양
실조로 인해 다른 질병이 발생한다.어른의 경우 설사는 그렇게 큰 병이 아니다. 하지만 한창 자라나는 어린이들은 신체 변화에 대처하는 적응력이 부족한 탓에 성장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식중독으로 ... ...
입체화되는 환경공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남은 살점은 햄이나 소시지와 같은 가공식품의 훌륭한 재료다. 연구팀의 식품공학자는
영양
가와 맛을 고려해 새로운 제품(kerapock)을 개발했다. 자원공학자는 이 제품을 팔 경우 수지가 제대로 맞을지 계산했다.첫번째 시나리오는 성공적이었다. 현재 미국의 한 업체는 유타주립대로부터 제품의 ... ...
1. 신비한 고래의 생태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호흡을 한 다음에야 고래 새끼는 어미젖을 빨기 시작한다.고래의 어미젖은 지방과
영양
분이 매우 많다. 그래서 대왕고래 새끼는 한시간에 4.5kg, 하루에 1백kg, 한달에 3t씩 체중이 는다고 한다. 생후 7개월이 되면 대왕고래 새끼는 15t에 이른다.유아원을 갖춘 돌고래돌고래는 지능이 매우 높다. 그들의 ... ...
무인도 생존법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독식물식용식물참나리의 뿌리:대부분의 섬에 자리잡고 있는 식물로 알려진 참나리는
영양
분이 매우 풍부해 구황작물로 이용되기도 했다. 방가지똥, 왕고들빼기, 민들레 잎:섬에 자생하는 식물들로 날잎을 그대로 야채처럼 먹을 수 있다.독식물섬천남성:빨간 열매가 아주 맛있게 생겼지만 먹으면 ... ...
생존을 위한 몸부림 동식물의 화학무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지혜로운 식물들도 많다. 사릭스(Salix)무리의 버드나무는 곤충의 침입을 받으면 갑자기
영양
상태를 떨어뜨려 맛이 없도록 만든다. 벌레들이 스스로 포기하도록 해 자신을 보호한다.박주가리무리는 흰 액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거기에 동물의 심장을 마비시키는 카데노리드라는 독극 물질을 가지고 ... ...
불치병에 멍에 벗긴 당뇨병 치료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당뇨병이 대표격으로 손꼽힌다. 물론 당뇨병의 발병에는 유전적 요인이 크게 관여하며
영양
과잉이나 비만 없이 생기는 경우도 적지 않다.그러나 식생활 이 여유로운 사회일수록 당뇨병 환자가 많은 점으로 보아 '풍요병'이라 부르는데 큰 무리가 없을 듯하다. 우리나라도 최근 당뇨병 환자가 ... ...
모유냐, 우유냐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오랫동안 모유를 먹고 싶어한다.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아 곧바로 동생이 생기면
영양
분이 좋은 어머니의 젖을 나누어 먹어야 하고 부모의 보살핌이 분산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어머니는 두개의 갈림길에서 타협책을 찾는다. 현재 아기에게 젖을 조금밖에 주지 않으면 아기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