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차가운 도로 위에 식어가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보였다. 골절 치료는 비교적 간단하다. 골절 부위를 수술로 고정하고 포대로 감싼 뒤 수주 동안 덜 움직이도록 좁은 계류장에 두고 붙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고라니는 예민한 성격 탓에 다른 동물과 달리 좀처럼 가만히 있질 않는다. 2019-4도 얌전한 성격은 아니었다. 계류한 지 일주일도 채 지나지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부드러운 펠트지와 거친 펠트지를 바닥에 깔아놓고 거친 펠트지 위에 먹이를 놓은 뒤 개미가 이동하는 경로를 살폈습니다. 그 결과, 개미들은 비교적 속도가 빠른 부드러운 펠트지 위에서 더 많이 움직인 반면, 속도가 느린 거친 펠트지에서 적게 움직였죠. 이런 움직임은 펠트지의 경계면에서 ... ...
- [매스크래프트] #16. 학익진 전법의 일등공신 '도형의 닮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바닥과 닿습니다(점 E). 같은 방식으로 파란 막대기의 끝(점 G)을 지나는 직선은 2.5m 뒤 지점에서 바닥에 닿죠(점 F). 이 상황에서 빨간 막대기부터 적군의 배까지 거리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도훈도들은 삼각형의 닮음을 사용해 계산했습니다. 위 그림에서 △ABE와 △DCE가 닮음이므로AB:BE=DC ... ...
- [매스포터] 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수학동아 l2021년 04호
- 2배씩 커지는 표시법입니다. 어떤 수가 몇 진법으로 표현된 것인지 나타내기 위해 수 뒤에 괄호를 넣어 표시합니다. 단, 십진법으로 나타낸 수에는 따로 표시하지 않습니다. 전개식으로 살펴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십진수 2504를 10의 거듭제곱을 써서 나타내는 전개식으로 표현하면 2504= ... ...
- [오일러프로젝터] 뭉쳐서쏠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같은 코드로 나타냅니다. ➊➋➌➍ math 모듈을 실행해 팩토리얼 함수를 불러온 뒤, 100만 번째 순열의 맨 앞자리 수를 구하는 코드를 실행합니다. 결과로 몫은 2, 나머지는 27만 4239가 나오므로 첫 번째 자릿수는 0번째 항부터 시작하는 리스트의 규칙에 따라 2번째 항인 2입니다.➎➏➐ 100만 번째 ... ...
- [한페이지 뉴스]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서식하는 두 종의 갯민숭붙이(Elysia cf. marginata, Elysia atroviridis)가 머리와 몸통을 절단한 뒤 머리에서 몸통을 재생하는 현상을 관찰해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갯민숭붙이 두 종의 생활사를 연구하던 중 우연히 이 장면을 목격했다. 비교적 어린 ...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대서양 연어를 양식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 국립수산과학원은 대문어 알을 부화시킨 뒤 99일까지 길러내는 데 성공했다. 또 높은 수온에서도 잘 자라는 김 품종을 개발해 시험하고 있다.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모습과는 차이가 많이 났다. 이십 년이 지나면 노인도 늙는구나. 나는 외할머니 납골함을 뒤로 하고 다른 사람들의 납골함을 둘러보았다. 새삼스러운 건, 죽음은 사람의 나이를 가리지 않는다는 거였다. 다섯 살도 안 되어 보이는 어린애가 눈을 동그랗게 뜨고 놀란 듯 찍혀 있는 사진도 있고, 교복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실험한 뒤 자료를 분석하는데, 실험구역 안으로 외부에서 개미가 풀을 타고 넘어온 것을 뒤늦게 발견했습니다. 결국 그 때 했던 실험은 주변 풀을 정리하고 다시 했죠. Q 평소에도 개미에 관심이 많았나요?예전에는 관심이 많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연구실에서 개미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많았고,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도식화했습니다. 이 형태가 케플러 추측대로 여러 층 쌓여있다고 가정했죠. 그런 뒤 같은 면적에서 구 모양의 마리모가 쌓여서 존재할 수 있는 최대 생물량과 이불처럼 깔려있을 때의 최대 생물량을 비교했습니다. 그런데 마리모가 이불처럼 쌓일 수 있는 최대 높이는 5cm입니다. 그 이상 쌓이면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