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아밀레이스(amylase), 경도(經度, longitude)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남쪽과 북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가리켜요. 적도를 기준으로 지구를 180등분 한 뒤 남쪽은 남위(0~90°N), 북쪽은 북위(0~90°N)로 나눴어요. 위도에 따라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가 달라, 고위도인 극지방으로 갈수록 추워지는 기후 특징이 있답니다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차이를 봤지요. 오디오 파일을 진동수, 진폭 등 소리의 특성으로 구분해서 나누어 자른 뒤, 비슷한 정도에 따라 인공지능이 재배열한 자료를 시각적으로 보여주었어요. 인간은 음악을 듣고, 즐기며 느껴지는 생각을 만들어내지만, 기계는 같은 음악도 전혀 다른 시각으로 분석적으로 접근한단 것을 ... ...
- 올여름은 화성 탐사 성수기?! ‘퍼시비어런스’와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퍼시비어런스 넌 누구냐! NASA는 2011년 탐사로버 큐리오시티를 화성으로 보낸 뒤 9년 만에 새로운 탐사로버 퍼시비어런스를 보낸다. 이번에 새로 장착된 셜록과 왓슨, 목시, 림팩스 등으로 퍼시비어런스는 무엇을 알아낼 계획일까? 도움★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 ...
- 과학자? 예술가? 현대미술과 과학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꼬아놓은 모습의 작품이에요. 15m 매듭을 여러 마디로 나눠 그 안에 빛나는 셀을 배치한 뒤 양 끝을 이어 붙였어요. 셀은 동력 장치와 연결돼 압력에 의해 형태가 바뀌고 그에 따라 빛을 냈지요. 매듭 이론*’에 매료된 김 작가는 수학 원리를 바탕으로 두세 달간 크로마의 구조를 만들었어요. 이때 ... ...
- [탐험대학] 생태, 인공위성, 공룡...집중 탐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미리 파악하고, 우리가 생물에 맞춰서 소리를 기록해야 하죠.”탐험대학 학생들은 한 달 뒤에 모여 소리를 분석하기로 했어요. 자연의 소리는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요? 공룡, 이 뼈는 누구의 뼈일까? “저는 스피노사우루스를 좋아합니다. 티라노사우루스도 이길 수 있기 때문이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뜯고, 접고, 붙이면 몸속이 보인다? 우리 몸 탐험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자세히 알 수 있는 브로마이드 4장이 나왔어요. 섭섭박사님은 꼼꼼히 브로마이드를 읽a은 뒤, 입체 모형을 조립했죠. 그런데 입체 모형 중 우리 몸 안에 있을 것 같지 않은, 곤충 로봇처럼 생긴 이상한 모형이 있었어요.“이건 ‘박테리오파지’라고 해요. 세균을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지요. 코로나19,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퍼시비어런스의 또다른 계획은 지구에서도 유행인 항공샷 촬영! 인류 최초로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의 하늘에 헬기를 날릴 계획에요. 대기도 적고 날씨도 추운 화성에 ... 무선으로 연결된 인지뉴이티가 센서와 카메라로 자신의 위치와 속도 등을 파악한 뒤 자율비행하며 이동한답니다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사자 '도도'가 식욕을 잃은 까닭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위해 수액과 해열제를 놔 주었고, 채취한 혈액을 동물병원으로 보냈습니다. 30분 뒤 무전을 통해 검사 결과가 전달되었는데, 병원균의 침입으로 백혈구 수치가 높다고 나왔습니다. 배꼽 아래 자궁이 있는 부분을 손으로 만져보니 딱딱한 이물이 만져졌습니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복부초음파를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이끄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께 소리를 어떻게 기록하는지 배운 뒤, 직접 다양한 새 소리를 모으기 위해 문화비축기지 곳곳으로 흩어졌어요. “꿩꿩!” “삐이이익!”가만히 귀기울여 보니 평소 들리지 않던 소리가 들려 왔어요. 대원들은 장 교수님과 함께 직박구리(삐이이익! ... ...
- [시사과학] 페트병, 투명 옷으로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돼요. 충분히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자원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쓰레기들과 뒤섞여 폐기되는 플라스틱이 상당하지요. 환경부는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을 바꾸는 방법을 고민했어요. 그리곤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을 개정했지요. 지금까지는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