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역부족이다. 지친 정자는 자궁 내벽의 구덩이에 잠시 몸을 누이고 에너지를 보충한 뒤 내벽을 따라 기어간다. ● 방향 전환 시 벽을 기어가는 정자 정자의 여정은 험난하다. 첫 문턱인 질은 산성 환경이고 이를 넘어서도 자궁 경부의 점액을 뚫어야 한다. 자궁 경부에 들어서면 곳곳에 백혈구가 ... ...
- 꼭꼭 숨은 카메라, 과학이 검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투과시키는 붉은 셀로판지 간이점검카드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휴대전화 플래시를 켠 뒤, 플래시와 후면 카메라 렌즈 위에 카드를 대고 주변을 촬영합니다. 화면에 반짝이는 물체가 보인다면 카메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휴대전화의 플래시 빛이 숨어 있는 카메라 렌즈에 닿아 반사되는 ...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보는 것이다. 이런 시험은 전공 서적을 대놓고 펼쳐놓고 보거나, 미리 내용을 정리해 온 뒤 참고할 수 있게 한다. 시험 시간을 24시간, 심지어 무제한으로 둬서 시간 제약이 의미 없게 만드는 수업도 있다.오픈북 시험은 난이도가 매우 높다. 교과서에도 나오지 않고, 인터넷 검색으로도 찾아볼 수 없는 ... ...
- [시사과학] 공인인증서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방식이 주목받게 될까요? 이기혁 교수는 “편리함과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3년 뒤 쯤에는 경쟁을 통해 살아남은 인증 방식 한두 개만 주로 사용될 것”이라고 분석했어요. 일단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훼손되지 않아야 하고, 시간이 지연되면 안 되며, 정보를 알아보지 못하게 암호화해야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구원은 201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말이 달리는 GIF를 대장균의 유전물질인 DNA에 저장한 뒤, 컴퓨터로 불러와 재생하는 데 성공했어요. 움직이는 이미지를 DNA에 저장한 건 최초였지요.연구팀은 컴퓨터가 디지털 사진을 ‘0’과 ‘1’로 이뤄진 숫자로 바꿔 저장하는 성질을 응용했어요. ‘0’과 ‘1’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밝아야죠.”까다로운 손님에 지친 꿀록 탐정은 마침내 묘안을 떠올렸어요. 스케치북을 뒤로 넘겨 네모난 상자를 그린 거죠.“자, 왕자님. 잘 보세요. 왕자님이 원하는 별은 이 상자 안에 들어있답니다!”“어허! 그 방법은 통하지 않아요. 제가 또 넘어갈 것 같나요?”“끙…. 어린 왕자님, 더는 ... ...
- [특집] 빠져나와야 짜릿하다! 방 탈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중국 문화를 볼 수 있는 서울 대림동을 직접 방문해 소품을 구했답니다.방을 완성하고 난 뒤엔 난이도를 조절해야 해요. 저는 방 탈출을 많이 해봤기 때문에 문제의 난이도를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없거든요. 그래서 방 탈출 입문자와 많이 해본 사람들을 고루 섞어 이틀에 걸쳐 10팀에게 테스트를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느껴졌는데요, 수학 선생님의 특별한 일탈을 지금부터 소개합니다! 수업이 끝난 뒤 수학 선생님의 일탈이 시작된다! 기타리스트, 영화감독, 소설가! 오늘 만난 수학 교사 세 분의 또 다른 직업입니다. 수학 교사라고 하면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이미지가 떠올라서 처음에는 ‘선생님들이 정말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논문 봇물… 6개월 만에 2만 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강한 전파력에 과학계는 발칵 뒤집혔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첫 발생 이후 불과 한 달 만에 코로나19 관련 논문이 50개 넘게 쏟아져 나왔다. 이후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증가하면서 과학자들은 연구에 더욱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한국형 핵융합실증로(K-DEMO)를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은 비록 핵융합 에너지 연구에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KSTAR 프로젝트와 함께 엄청난 성장을 거뒀다. 그리고 현재는 핵융합 연구의 중심인 ITER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과 나란히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라는 꿈을 향해 뛰고 있다. ※필자소개이현곤.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