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나만의 정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화분을 퍼즐 집 정원에 놓고 새싹이 발아하는 과정을 관찰해 보세요. 제비꽃의 경우 5~7일 뒤에 싹이 솟아오른 걸 관찰할 수 있을 거예요. 씨앗이 발아하는 데 가장 중요한 환경 조건은 온도와 수분, 햇빛이에요. 싹이 트는 최적의 온도는 16~26℃이므로, 집 안에서 가장 적합한 공간을 찾아 놓으면 ... ...
- [특집] 모든 물체는 종이접기로 만들 수 있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분할했습니다. 물체의 곡선까지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삼각형으로 나눈 뒤, 한 장의 종이 위에 이 삼각형들을 적절히 배치했죠. 그리고 종이를 접었을 때 삼각형들이 모여 3차원 물체를 만들 수 있도록 수십, 수백 개의 주름을 삼각형 사이사이에 배치했습니다. 이때 접는 주름은 ‘보로노이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지점에 수를 대응시키면 어떨까?’라는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실제로 수를 대응시킨 뒤 세 가지 방법으로 큐브를 자르고 배열한 수를 이용해 새로운 연산 법칙 13개를 알아낼 수 있었죠. 기존 가우스의 연산 법칙은 2차 방정식에만 쓸 수 있었는데, 새로 발견한 연산 법칙 덕분에 가우스의 연산 법칙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상황이 계속됐습니다. 많은 학회와 세미나의 오프라인 모임이 취소됐지만, 얼마 뒤 온라인 모임으로 전환됐습니다. 온라인이라 더 쉽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행사도 있는데요, 여전히 직접 사람을 만나 교류하는 게 가장 좋지만, 이렇게라도 현 상황에 적응할 수 있음에 감사해야겠죠?꼭 ...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스캔하는 등 금융권에서 주로 쓰는 프로그램을 탑재했다.이미지에서 문제를 인식한 뒤에는 문제 풀이를 위해 필요한 공식을 추출해 낸다. 예를 들어 x2+3x−10=0이라는 이차방정식을 인식했다면 ‘근의 공식’에 숫자를 대입해다음과 같이 답을 구한다.포토매스 앱은 이차방정식의 풀이법을 다양하게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PTSD는 자연재해, 전쟁 등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하고 난 뒤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이다. 집중력이나 기억력 저하뿐만 아니라, 심하면 환청 등의 지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2019년 김세윤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뇌 활성을 조절하는 ‘이노시톨 대사 효소’를 제거하면 ... ...
- [JOB터뷰] 텔레비전에 나오던 아저씨 아냐? ‘두리랜드’ 임채무 회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많지만, 실제로 해내는 사람은 많지 않잖아요. 드라마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난 뒤 생각지도 않은 돈이 생겼어. 그래서 이곳 땅을 조금씩 사 결국 놀이공원을 만들었지. 연예인들은 대부분 부업으로 식당과 술집을 차리는데, 나는 그저 재밌는 걸 하고 싶었어. 돈을 버는 게 목적이 아니었거든. ...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반달가슴곰, 세 마리가 동거하게 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마취 상태에서 이동하면 기도가 눌려 위험해질 수 있기에, 회복제로 곰들을 완전히 깨운 뒤에 이동하기로 하였다.# 2018년 12월 7일 오후 5시- 청주동물원에 자리 잡다!곰들을 데려갈 차량은 동물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진동이 없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특수운반용 트럭이었다. ... ...
-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식량은 미생물이 잘 자라지 않도록 수분을 날려버리는 동결건조 방식을 이용해 만들어진 뒤 우주로 보내진답니다. Q. 양치하고 과일이나 음료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요? / 이승빈 (katelee420) 거울로 혀를 자세히 한번 들여다보세요. 혀에 ‘유두’라 불리는 수많은 작은 돌기들이 덮여있는 것을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정체는 결정과 비결정의 사이에 있는 ‘준결정’ 물질이었다. 그러나 기존 정설을 뒤엎는 셰흐트만 교수의 발견은 엉터리 연구로 취급당했다. 연구실의 명예를 실추시킨다며, 소속 연구실에서 쫓겨났을뿐더러 노벨 화학상과 노벨 평화상을 받은 라이너스 폴링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로부터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