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없는 곳에 이렇게 멋진 성이? 대체 야수 왕자는 뭐가 문제라는 거야?”땀을 뻘뻘 흘리며
뒤
따라온 꿀록은 헉헉거리며 말했어요. “일단 들어가 봐요!”꿀록과 개코는 한참을 서서 감탄하다 초인종을 눌렀어요. ●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 "장미가 잘 자라지 않아요!" “여기까지 와주셔서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펜타곤이 연 새로운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정체는 결정과 비결정의 사이에 있는 ‘준결정’ 물질이었다. 그러나 기존 정설을
뒤
엎는 셰흐트만 교수의 발견은 엉터리 연구로 취급당했다. 연구실의 명예를 실추시킨다며, 소속 연구실에서 쫓겨났을뿐더러 노벨 화학상과 노벨 평화상을 받은 라이너스 폴링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로부터 ... ...
[매스미디어] 테슬라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전기의 단점도 드러나고 있습니다. 교류 전기는 대형 발전소 한 곳에서 전기를 생산한
뒤
멀리까지 배달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전깃줄로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이어야 하는데요, 이런 경우 전선 한 개가 끊어지면 그와 연결된 다른 전선 역시 도미노처럼 고장이 납니다. 때문에 작은 사고가 대형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설정됐다. 위성의 위치 역시 태양을 기준으로 알아냈다. 이를 태양지향모드라 한다.30분
뒤
전이궤도에 진입했다. 전이궤도는 지구에서 가깝게는(근지점) 상공 250km, 멀게는(원지점) 상공 3만6000km 떨어진 지점을 도는 타원궤도다.“그 다음이 가장 어려운 과정이었습니다.” 박 책임연구원은 목표궤도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자웅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김재봉 한림대 의대 교수는 “수정되지 않은 미수정란이 분열하는 단성생식이 일어난
뒤
2개의 정자와 수정됐을 가능성도 있다”며 “자웅모자이크는 분리되지 않은 이란성 쌍둥이와 유사하다”고 설명했다.자웅모자이크는 1914년 초파리의 유전학을 연구하던 토마스 헌트 모건 당시 미국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 불길했습니다. 모바일 메신저 알람으로 뜬 메시지 첫 문장에 ‘는데요’라니. 분명 그
뒤
에 좋지 않은 말이 붙을 게 뻔했습니다. 메시지를 클릭해 마저 열어봤습니다. "장마가 길어져서 저수지에서물수제비 기계 시연하기에는 위험해일정을 미루게 됐습니다.아이템을 변경해도 될까요…? ... ...
[과학동아 프렌즈] 로봇 만들고 책 읽으며 과학고 합격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0월호에선 영화 ‘테넷’을 엔트로피 개념으로 설명한 기사에 꽂혔다. 홍 군은 “책을 본
뒤
며칠 후 화학 수업 시간에 엔트로피 개념에 대한 설명이 나왔다”며 “책에서 읽은 내용을 토대로 수업 시간에 질문도 했다”고 말했다. 꾸준한 독서 덕인지, 올해 8월에는 과학논술문 쓰기 대회에서 수상도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새끼를 잡아먹은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또한 빗해파리는 새끼 해파리를 먹고 난
뒤
별도의 사냥을 하지 않고도 2~3주 정도를 더 버틸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연구에 참여한 토마스 라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빗해파리가 새끼를 먹는 것은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therapy)가 있다. 광역학 치료는 암과 같은 질병 부위에 빛에 민감한 치료제를 투여한
뒤
빛을 강하게 입사해 질병 조직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기술이다. 기존 광역학 치료는 우리 몸이 빛을 산란시켜 치료용 레이저 빛을 암과 같은 질병 부위에 집중하기 어려웠지만, 시간 역행 거울의 특성을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지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대뇌의 전두엽이 여성보다 남성이 크고 여성은 전두엽 바로
뒤
에 있는 두정엽이 남성보다 크다고 봤다. 이와 다르게 신경해부학자들은 두정엽이 오히려 지능에 더 중요하고 실제로는 남성의 두정엽이 더 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0세기 이후로도 과학자들은 뇌의 여러 ... ...
이전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