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한국천문연구원 은하진화그룹 연구팀은 슬론전천탐사(SDSS) 관측자료와 하와이에 위치한 CFHT 3.6m 망원경에서 얻은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질량이 우리은하의 40분의 1에 불과한 조밀타원은하의 중심부에서 활동성 은하핵을 발견했다. 활동성 은하핵 현상은 은하 중심부로 주변 물질들이 유입되면서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예컨대 헬륨(He)과 붕소(B), 산소(O), 실리콘(Si) 등의 동위원소를 만들어 이들이 목표 위치에서 암세포를 파괴하는 능력이 얼마나 뛰어난지를 세포 혹은 동물실험으로 확인해 보는 식이다. 정원균 한국원자력의학원 중입자임상연구부장은 “새로운 입자를 이용한 방사선 치료를 환자들에게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네트워크를 비교해 몇 가지 경향성을 찾아냈다. 우선 의미 네트워크 상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는(의미적으로 가까운) ‘바다와 소금’은 다른 언어의 의미 네트워크 상에서도 가까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언어의 의미 네트워크에서 ‘바다와 태양’은 그보다 멀리 떨어져 있었다. 윤 연구원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들어 있는 근처의 하천이 모두 사해로 흘러들어가요. 이렇게 흘러들어간 물은 낮은 위치 때문에 사해에서 빠져나가지 못해요. 그런데 이 지역은 기후가 매우 덥고 건조해요. 그래서 매우 많은 양의 수분이 증발하지요. 결국 물은 계속 증발하지만 무기염이 계속 쌓여 사해의 염도가 매우 높아진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반응이 가장 활발한 시기다.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이른 시간이었지만 경기도 송탄에 위치한 오산공군기지에선 비행 준비가 한창이었다. 과학자들은 전국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이라는 소식을 듣고 “오늘 제대로 오염물질을 관측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오전 6시 반, 비행에 대한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안쪽에는 말려있는 줄자가 낚시 줄에 고정돼 있다. 지상에서 신호를 주면 낚시 줄 아래 위치한 작은 기판에서 열이 발생해 낚시 줄을 끊는다. 팽팽하던 낚시 줄이 끊어지면 말려 있던 줄자가 자체의 복원력과 코일 스프링의 도움으로 쫙 펴지면서, 연결된 돛도 함께 펴진다. 간단한 원리지만 돛이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회적 규범을 논의한다. 초대 학회장으로 선임된 백 교수를 5월 9일, 서울 역삼동에 위치한 민후 사무실에서 만났다.첨단 분야 일선 연구자와 함께 하고파“포스트휴먼을 만드는 여러 기술들이 가져올 결과, 예컨대 낡은 장기를 인공장기로 대체해 100세 이상 사는 게 인간적으로 더 좋은 삶인지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596~1650년)는 세계를 구성하는 독립적인 실체에 두 종류가 있다고 했다. 하나는 공간적인 위치나 크기를 갖는 물질이고, 다른 하나는 사유를 본질적인 속성으로 하는 정신 혹은 마음이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인간은 정신과 물질이 결합된 혼합적인 존재다. 반면 동물은 일종의 기계로, 순수하게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더러운 불순물이 들어가고 있었다. 그 불쾌함은 길 건너편에서 은성의 가게를 바라보는 위치에 섰을 때 정점에 달했다.부인할 수 없는 염탐자의 시선. 왜 이걸 지금까지 눈치채지 못했을까?파란불이 켜졌다. 윤정은 망설였다. 바로 그 순간 뒤에 서 있던 남자 하나가 그녀의 어깨를 확 밀치고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펜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다행스럽게도 우리의 뇌는 양쪽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를 잘 합쳐서 하나로 보게 해 줘요. 이를 ‘융합 기능’이라고 해요. 그런데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