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는데, 육상지진계는 관측 거리에 한계가 있어서 진앙의 위치가 바다일 때 지진의 위치와 규모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 과학자들은 지진이 일어날 때 지진파 일부가 해저면에서 음파로 바뀐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원상 연구원은 “해저면에서 나오는 음파는 수심 1000m 부근에 형성된 음파 통로인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위치를 지정하고 버튼 하나만 누르면 여러 가지 장비들이 시스템적으로 작동하며 배의 위치를 잡았다. 이선장은 “연구 장비들을 줄줄이 매달고 있는 과학조사선에서 특히 중요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하지만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배가 작고 파고가 높으면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 선장은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7년 페루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자 로돌포 살라스-지스몬디와 연구팀은 페루의 동쪽에 위치한 마이오세 지층에서 네 종류의 악어, 푸루스사우루스, 그리포수쿠스, 발라네로두스, 그리고 모우라수쿠스를 발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네 종류의 악어는 생태적 지위를 분할했다. 강한 턱을 가진 ...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펜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 다행스럽게도 우리의 뇌는 양쪽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를 잘 합쳐서 하나로 보게 해 줘요. 이를 ‘융합 기능’이라고 해요.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펜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번갈아 가려가며 펜을 보세요. 펜의 위치가 미세하게 오른쪽과 왼쪽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거예요.다행스럽게도 우리의 뇌는 양쪽 눈을 통해 들어온 두 개의 이미지를 잘 합쳐서 하나로 보게 해 줘요. 이를 ‘융합 기능’이라고 해요. 그런데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도구를 사용했다는 증거다. 바빌로니아인은 컴퍼스로 원을 그리며 척도를 계산해 지형의 위치를 파악했다.미지의 세계를 표현한 삼각형도 그냥 새겨 넣은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가운데 원을 중심으로 뾰족뾰족하게 뻗어 있는 7개의 삼각형은 모두 이등변삼각형이다. 원을 정확히 그리고 이등변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용한다. 삼각 측량은 평평한 땅에 기준이 되는 선분을 그어 길이를 재고, 물체의 위치를 표시하는 좌표인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이렇게 여러 수학자가 연구했던 삼각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삼각비를 활용한 사인곡선과 코사인곡선을 만들어 보자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끝을 비스듬히 자른 첨필로 새겼다. 두 가지 기호로 자리에 따라 수의 크기가 달라지는 ‘위치적 기수법’과 60진법을 사용했다.마야 문명의 수학과 과학은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큰 업적은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과 0을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마야 숫자는 20진법을 기반으로 했다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현장에서 터지고 있는 오렌지색 불꽃처럼 보이는 왼쪽 광물은, 엘브루스 산의 기슭에 위치한 엘브루스 비소 광산에서 태어난 웅황(Orpiment)이다. 세계 여러 곳에서 웅황이 산출되지만, 엘브루스 산 웅황이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유화비소(As2S3)화합물로 굳기가 손톱(모스 경도 2.5)보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한편 파섹(pc)은 별까지의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것으로, 지구가 공전을 하면서 위치가 바뀜에 따라 별을 보는 각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용해요. 예를 들어 1월에 보이는 별을 관측하고 6개월이 지난 7월에 태양의 반대편에서 똑같은 별을 보면 위의 그림처럼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잴 수 있어요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