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라플라스의 가설에서 따온 별명이다. 라플라스는 만약 이 세상에 있는 모든 원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알고 있는 존재, 즉 라플라스의 악마가 있다면 뉴턴의 운동법칙을 이용해 과거와 현재를 모두 설명하고 결국 미래도 완벽하게 예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우하라 박사는 겐토의 능력이 선천적인지,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나눗셈에서 몫이 자연수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을 때는 몫을 분수로 나타내거나 적당한 위치에서반올림해 근삿값을 구합니다.교과서에는 세로로 하는 긴 나눗셈인 장제법만 소개돼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같은 수를 여러 번 빼서 계산하는 누감 알고리즘을 이용해 나눗셈을 할 수 있습니다. 누감 ... ...
- [수학뉴스] 세기의 대결! 인공지능 vs 바둑 최강자 이세돌 9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3000만 가지의 수를 학습했다고 합니다.이것을 바탕으로 알파고는 바둑돌이 놓일 위치 중 어느 곳이 가장 높은 승률을 낼 수 있는지 알아내고, 상대방의 움직임을 예측합니다. 이와 함께 다양한 상황에서 가장 좋은 수를 골라내는 ‘몬테카를 로 트리 검색’을 하며 바둑을 둡니다.이렇게 막강하게 ... ...
- [지식]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_홀의 결혼정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S)≥g(k)를 만족하면 각각의 Ai에서 원소 xi를 잘 뽑아서 뽑힌 점들 x1, x2, …, xn이 일반적인 위치가 되게 할 수 있다.참고로 이번 논문에서는 평면에 대해서만 한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d차원 공간에 대해서도 같은 식의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이때 d=1이면 홀의 결혼정리이지요. 현재까지 이 증명은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면, 도안에서 1mm도 어긋나지 않게 플라스틱 주걱으로 종이를 꾹꾹 누르며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접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멀리 나는 종이비행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존 콜린스처럼 플라스틱 카드나 자를 사용해 접은 모서리가 불룩 튀어나오지 않도록 깔끔하게 접는 것이 좋아요. 특히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 “블랙홀로 전기 만들 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소규모 블랙홀을 찾지 못했고, 찾았더라도 블랙홀이 지구 궤도 주변의 안정한 지점에 위치해야한다는 조건이 있어 발전소로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고 덧붙였다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바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우는 다릅니다. 브라운 교수팀은 행성의 위치가 아닌 궤도를 예측했을 뿐입니다. 그것도 해왕성이나 명왕성보다 몇 배나 큰 궤도를요. 망원경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처음 시도했다. 가장 먼저 마주한 장애물은 책상이었다. 서서 일하려면 모든 사무기구의 위치가 함께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서서 일하기 전용 책상은 가격이 만만치 않았다. 그래서 적당한 높이의 접이식 테이블을 구입해 책상 위에 놓고 본격적으로 서서 일하기 시작했다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밝혔다. 실제로 영국 천문학자 아서 에딩턴은 1919년 5월 29일 발생한 일식 전후의 별의 위치를 관측해서 빛의 경로가 휘어진 것을 확인했다.근일점 타원궤도에서 태양에 가장 가까운 지점 자, 이제 마지막이다. 태양이나 지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천체는 질량의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중력은 물론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996년 필자는 물리학을 전공으로 선택했다. “우주의 모든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안다면 우주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라플라스의 악마처럼 뉴턴 역학은 만물의 이치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았고, 해밀턴역학은 만물이 철학적으로 움직인다는 인상을 줬다. 필자는 여기에 매료됐다. 그러나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