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관계를 알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바빌로니아인은 원하는 날에 목성이 움직이는 속도와 위치를 알 수 있었다.또한 오센드리버 교수는 바빌로니아인의 계산법이 14세기 영국 학자들이 발전시킨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고대 바빌로니아인이 유럽인보다 1400년이나 앞서 행성의 속도를 계산해냈다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하니 쉽지 않았습니다. 어느 쪽으로 움직여야 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혹시 거울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나무의 높이를 예상해 보면 됩니다. 나무의 높이가 내 키의 3배 정도 된다면 나와 나무 사이의 거리를 1:3으로 나누는 지점에 거울을 놓아 보세요. 그러면 아주 약간만 ...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자릿수를 나타내는 ‘위치적 기수법’을 이용해 숫자를 체계적으로 표현했다. 위치적 기수법이란 각 자리의 숫자가 다른 곳에 있는 숫자와 다른 크기를 나타내는 표기 방식이다.자릿수를 이용해 숫자를 쓰는 건 근처에 있던 이집트의 수학보다 더 나은 방식이었지만, 아직 부족한 점도 있었다. 숫자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튀어나온 부분이 가로로 놓여 있어요. 반면, 4족 보행을 하는 동물의 어깨뼈엔 세로로 위치해요. 또 사람의 척주와 동물의 척주를 비교했을 때, 동물의 극돌기가 사람보다 훨씬 튀어나와 있어요.실제로 과학수사대원들은 신체 각 부분의 뼈 모양과 이름을 배우고, 조립도 해보는 교육을 받는답니다.[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자신의 정찰병을 활용해 능동적으로 상대의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상대 기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맵을 살펴야 하고, 기지를 찾은 뒤에는 혹시 상대가 무엇을 숨기지 않았을까 구석구석 살펴봐야 한다. 정찰병을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정찰과정에서 얻은 불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 ...
- [과학뉴스] 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스터리를 푸는 단초가 될 전망이다. 가령 그동안은 화성의 강줄기 흔적이 왜 지금의 위치에 있는지 설명할 수 없었다. 화성 표면에 질서 없이 늘어서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각의 변화를 고려해 강의 흔적을 재배치하자, 강이 초기 화성의 남쪽 열대 대역을 따라 늘어선 것으로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는 모든 것들이 각각의 ‘지금’이다. “우리는 모든 것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에 놓여 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습니다. 우리는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볼 수 없는 모든 것들을 추상화해 여러 가지 수많은 것들이 동시에 공존한다는 생각을 고수하려고 합니다. 그냥 ‘지금’들만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저온 플라스마에 전기장을 가해 그 안에 있는 양이온을 가속시켜 실리콘웨이퍼의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방향으로 부딪히도록 조작한다. 양이온이 구멍을 파낸 곳에 전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축전기(캐패시터) 물질을 넣으면 그것이 하나의 비트다. 이것을 ‘건식 공정’이라고 한다.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마다가스카르의 후기 백악기 마에바라노층에서 발견된 시모수쿠스다.아프리카 남동쪽에 위치한 마다가스카르 섬은 백악기 때도 지금처럼 고립된 곳이었다. 당시에는 모든 대륙에서 초식공룡인 갑옷공룡이 존재했는데, 이들은 키가 작은 식물을 뜯어 먹었다. 하지만 마다가스카르는 갑옷공룡이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정란이 세포분열을 시작하기 전에 머무는 곳, 즉 난자를 채취한 난관의 정확히 같은 위치에 그대로 이식해야 한다. 이식 수술을 한 뒤에는 잘 착상되기를 기원하는 일만이 남는다. 현재 복제 효율은 대리모 견 열 마리 당 한 마리만 임신에 성공하는 정도. 그나마 10년 전에 비해 많이 높아진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