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모"(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가능한지 살펴보자.진화사적으로 최근이라고 볼 수 있는 10만-15만년 전, 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는 아프리카 사바나를 떠나 정처 없는 여정을 시작한다. 그런데 이 무렵까지 이들은 모두 흑인이었다고 한다. 오늘날 볼 수 있는 다양한 피부색은 불과 수만년 사이에 일어난 변화인 셈이다.미국 ... ...
- 쥐라기 공원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03년 12호
- 다른 계통들에 미치는 생태·진화적인 영향력으로 정의됩니다. 이런 기준으로 보면 호모 사피엔스가 성공한 종이라고 보긴 아직 이르지만, 적어도 지배의 측면에서는 인간까지의 진화가 진보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고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어찌됐든 진화와 진보의 관계는 그렇게 간단하지 ...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적은 편이다 이것이 인류의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어떤 점에서는 호모 에렉투스를 닮았고 또 어떤 점에서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하다 흑체의 복사강도 I가 절대온도 T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열복사에 관한 법칙 볼츠만은 열평형에 있을 때 복사 강도 I와 에너지 밀도 w는 w=4πI/c(c는 ...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불과하다.사실상 인간의 공격적 성향을 다른 동물, 특히 영장류와 비교할 때 식인 풍습은 호모 사피엔스 종 특유의 행태인 것으로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동물들은 동종(同種)의 다른 성인 개체를 공격해 죽이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주로 암놈의 발정기 때 수놈끼리 싸움이 벌어져도 그것은 자웅을 ...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인류의 화석이 발굴되는 아프리카 중부지역의 연평균 온도와 비슷한 값이다.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수렵채취인이었다. 자신보다 훨씬 빠른 동물을 잡으려고 몇시간, 심지어 며칠씩 쫓아다녔다. 먹이를 급습해 잡아먹는 큰고양이과 동물들과는 대조적이다. 털이 난 동물들은 전속력으로 ... ...
- 현생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계조상 발견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이마, 평평한 얼굴, 좁은 눈썹 모습을 갖고 있다. 반면 호모사피엔스보다 앞서 출현한 호모에렉투스와의 유사한 점도 보인다. 눈구멍이 크고, 치아가 튀어나왔고, 머리 뒤쪽이 길이가 짧다는 것. 이같은 해부학적 구조는 현생인류가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보여준다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
- 3 침팬지는 인간의 조상인가과학동아 l2003년 06호
-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비교하는 실험이 있었다. 그 결과 현대인간의 기원은 아프리카의 호모 사피엔스이며, 같이 존재했던 네안데르탈인은 전부 멸종하고 아프리카인의 일부가 전세계로 퍼져나간 것으로 추정됐다.또한 인간의 미토콘드리아DNA와 X염색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현대인간의 수가 ...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과학동아 l2003년 06호
- 분류보다 인간과 훨씬 가까운 종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제는 침팬지도 사람과 같은 호모속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문에 따르면 침팬지와 사람이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고릴라, 오랑우탄, 원숭이 순으로 유전자 상동성이 떨어졌다. 대조군으로 이용된 쥐 유전자는 영장류와 ...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적은 편이다 이것이 인류의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어떤 점에서는 호모 에렉투스를 닮았고 또 어떤 점에서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하다 흑체의 복사강도 I가 절대온도 T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열복사에 관한 법칙 볼츠만은 열평형에 있을 때 복사 강도 I와 에너지 밀도 w는 w=4πI/c(c는 ... ...
- 7백만년 전 원인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이런 특징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도 없는 것이며 한참 뒤에 등장한 인류의 조상인 호모 에렉투스에서 다시 나타난다.하지만 과학계 일부에서는 이 화석의 진위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