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모"(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안데르탈인 인간의 직접조상 아니다과학동아 l1998년 01호
- 네안데르탈인은 험하고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지 못해 멸종했지만, 좀 더 영리했던 호모사피엔스는 살아남아 현생인류로 진화했다.한편 네안데르탈인은 흔히 야수적인 유인원으로 생각됐지만, 그들은 매장 풍습도 가지고 있었다. 어떤 무덤에서는 유골과 함께 생전에 사용하던것으로 보이는 ... ...
- 다윈을 추종한 화석사냥꾼들과학동아 l1997년 06호
- 발굴할 수 있었다. 이 와중에 그는 1986년 탄자니아 올드바이에서 1백80만년 전의 호모 하빌리스를 발견하는 개가를 올렸다.그는 1991년 '루시'(1996년 도서출판 푸른숲에서 변역 출간)라는 책을 써서 미국과학저술상을 받기도 했다. 1994년PBS/NOVA 방송사가 요한슨과 함께 제작한 '인류 기원을 찾아서' ... ...
- 현대과학에서 풀리지 않은 숙제들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진화해 왔으며 네안데르탈사람 또한 이들로부터 진화했다고 가늠된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해부학상 슬기사람과 네안데르탈 사람의 공통조상이 된다.미래의 인류는-호모 컴퓨터렌시스?“호미니드의 조상들이 어떻게 ‘인류’라는 존재로 되었을까”는 계속적인 연구 대상이다. 많은 ...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과학동아 l1997년 03호
- 부른다. 이와 같이 공룡이름은 모두 저마다의 한글 명칭을 갖고 있다. 인간을 호모(Ho-mo)라 하지 않고 ‘사람’이라 부르는 것과 같은 이치다.1993년 자연사환경학회는 공룡의 한글 명칭을 제정한 바 있다. 티라노사우루스는 폭군룡, 트리케라톱스는 세뿔룡, 스테고사우루스는 판룡, 사우로포다는 ...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과학동아 l1996년 12호
- 포시. 어떻게 그들은 정글 속으로 가게 됐을까.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올두바이에서 '호모 하빌리스'(도구를 사용하는 인간)의 유골을 발견한 리키박사는 상념에 빠졌다. "과연 인간은 어디서 온 것일까". 그런 고민을 하던 무렵 탄자니아를 여행하던 리키박사는 탕가니카호 근처의 언덕에서 달아나는 ...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양보하지 않으며 상스러운 표정을 짓는다.이것이 바로 자연의 원시적 밀도효과에 따른 호모 사피엔스의 본능적 발현이다. 이 밀도효과는 야생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친다.유럽의 도시 비둘기나 청설모는 모두 건강하고 윤기가 돌며 눈들이 순박하기만 해서 여행객들이 쉽게 친근감을 느낀다. 그러나 ... ...
- 4. 인간 정신의 기원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5년 10호
- 기원은 뇌의 발달(진화), 특히 대뇌의 발달에서 찾을 수 있다. 뇌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호모 사피엔스 단계에서 인간의 정신이 형성되고, 언어 발달과 더불어 더욱 정교화됐다고 볼 수 있다.창조론 미국 인본주의 연합회 선언에 따르면, "인본주의는 인간이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은 계속적 과정의 ... ...
- 5. 미래 인간의 모습은 어떤 형태일까과학동아 l1995년 10호
- 새로운 뇌의 능력이 요구돼 뇌의 빠른 발달이 나타났으며, 이후 약 20만년전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가 출현했다.처음 아프리카에서 출현한 인류는 세계 각지로 이동하면서 각기 다른 환경에 적응한 결과 흑인 백인 동양인 등 여러 인종으로 분화됐고 앞으로도 계속 진화할 것이다.예측할 수 ...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이것은 동시에 정신이 출현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도구제작이 시작되는 2백만년 전의 호모 하빌리스에 와서 손의 형태가 완성됐다고 본다. 그들은 이제 자기를 자각하기 시작했으며 자연계에서 자신의 독특한 위치를 깨닫기 시작했다.그러나 이것이 그들이 자신의 내부에서 정신을 발견했다는 것은 ... ...
- 2만년전 원시숨결 '쇼베동굴예술'의 신비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즉 시각정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를 지금으로부터 4만년 전으로 잡는다. 이는 호모 사피엔스인 크로마뇽인이 중동으로부터 이동을 시작해 빙하기 유럽에 도달한 시기와 일치한다.크로마뇽인들은 그곳에 살던 그 전 인류인 네안데르탈 인들을 진화적 퇴물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많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