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모"(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분 동굴의 유해, 인류최초의 매장 증거인가?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선조들, 즉 호모 사피엔스도 죽은 자들을 매장했을 것으로 보인다. 카멜산의 동굴에서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은 오랫동안 함께 살았지만 그들간의 혼혈아는 태어나지 않았다.로넨교수에 따르면 타분동굴의 발굴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하는데 따라서 이 지역에서 살았던 고대인들의 ... ...
- 북경원인과 동시대에 존재한 화석 발견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매우 양호한 편이었다.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원인(原人, 호모 에렉투스)보다 구인(舊人, 호모 사피엔스)에 가깝다. 그러나 화석이 출토된 지층을 보면 이 원시인의 생존시기는 북경원인과 겹쳐진다. 따라서 원인과 구인이 일정 기간동안 중국의 화북(華北)과 화중(華中)지방에 동시에 살았던 것으로 ... ...
- 머리좋은 생물들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뜻하는 호모사피엔스는 우리 인간이 이 지구상에서 가장 머리가 좋다고 믿는 까닭에 자만심을 연상시키는 용어다. 수세기동안 우리는 그 어떠한 생물도 우리만큼은 자랑할만한 두뇌를 갖지 못한다고 생각해옴으로써 어느 동물이 우리가 상상했던 수준보다 생각하는 능력이 높음을 발견할 때면 ... ...
- 악어와 거북은 온도따라 성(性)이 결정된다과학동아 l1992년 03호
- 포유류는 성염색체가 헤테로(hetero이형)일 때 수컷(XY형 염색체), 조류는 성염색체가 호모일 때 수컷(ZW형 성염색체)이 된다. 이처럼 생물의 성은 염색체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이 상식처럼 여겨져 왔다. 즉 암수는 수정시 염색체의 조성에 따라 결정돼버려, 그뒤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런 ...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과학동아 l1992년 01호
- 종의 개념에서 볼 때, '인간적'이라는 특성에 그다지 중요한 부분이 아닐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로서 인간 사고의 특징은 추론이나 판단이지 빠르고 정확한 계산이 아니었다. 기껏 '털없는 원숭이'에 불과한 인간이 공룡의 먹이가 되지 않았던 것은 계산이 빨라서가 아니라, 어느 순간에 어디로 ...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과학동아 l1991년 12호
- 석기를 갖추고 있었다. 이 문화는 네안데르탈인의 석기문화인 무스체 요소를 가진채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발명한 돌칼기술을 대폭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 샤텔페론 문화는 크로마뇽인에게 쫓겨 막다른 골목에 몰려있던 네안데르탈인이 크로마뇽인의 돌칼기술을 배워 부분적으로 ...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과학동아 l1991년 10호
- 끌어들였으며, 이들과 함께 초기 인류의 화석들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호모 사피엔스의 성인 두개골은 바닥이 오목하고 후두의 위치가 낮은 데 비해 여타 유인원은 두개골 바닥이 평평하고 후두의 위치도 높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들은 또 2백만~4백만년전 아프리카에 거주했던 ...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과학동아 l1991년 08호
- 화석의 기록에 따르면 사람과는 적어도 3백50만년 전에 지구상에 출현했다. 명실상부한 호모 사피엔스 (Homo sapiens)도 약 10만년 전부터 존재했다.인류가 약 1만년 전부터 농경생활을 시작 한 후 생물의 다양성은 새로운 파란을 맞게 된다. 수많은 생물들이 그들의 역사 속에서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과학동아 l1991년 08호
- 오스트레일리아로 인간이 건너간 것은 불과 수만년 전이었다. 다시 말해 현대인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가 등장한 다음의 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인류의 진화와 확산의 역사에서 한반도는 어느 때부터 그 무대가 되었을까. 아마도 이 글을 읽는 많은 독자들 중에서도 이러한 ...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가 발견했으며 처음에는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Pithecanthropus erectus)로 불렸으나 지금은 호모 에렉투스 에렉투스로 바꾸어 부르고 있다. 이 화석이 발견되는 곳에, 3백여마리의 사슴화석과 팽나무류의 열매를 불로 볶은 흔적이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이들은 집단 수렵생활을 하였고 불을 사용했던 ... ...
이전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