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소화"(으)로 총 3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약알칼리성 완충용액인 중탄산염을 소장으로 분비해 미즙을 중화시킨 뒤 본격적인 소화 흡수 작용을 진행한다. 아무튼 위산과다로 괴로울 때 제산제가 긴요하지만 이건 하책(下策)이고 위산 분비를 정상으로 돌리는 약을 먹어야 한다. 그런데 그런 약이 없다는 게 문제다. 즉 우리 몸이 알아서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 섭외했다. 호킹박사는 서울과 제주를 오가며 학회, 콜로키움, 대중강연 등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그가 가는 곳마다 인파가 몰렸다. 답변까지 10분, 느리지만 성실히 답해 호킹 박사는 청와대 본관 응접실에서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30분 이상 환담을 한 뒤 학회 장소로 가기 전, 서울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없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고기(근육)에는 글리코겐 형태로 탄수화물이 들어있어 이를 소화하기 위해 육식동물도 췌장에서 아밀라아제를 만든다. 게놈을 분석해 영장류의 진화를 재구성해보면 대략 3900만 년 전 침샘에서 아밀라아제가 발현되는 변이가 일어났다. 그리고 인류에서만 침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수용체가 있기 때문에 감칠맛 수용체의 진정한 역할은 소장에서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소화될 때 이를 감지해 단백질을 제대로 공급받았다는 신호를 뇌로 보내는 것이라고(따라서 우린 맛으로 의식하지 못한다) 설명했다. 그리고 단맛과는 달리 감칠맛은 그 자체로는 좋은 맛으로 느껴지지 않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그러나 사람의 소장에 트레할라제가 있더라도 음식 속 트레할로스의 상당 부분이 소화되지 않은 채 대장으로 넘어간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나와 있다. 즉 식품첨가물로 쓰인 트레할로스의 일부는 대장까지 이동해 그곳에 사는, 트레할로스에 민감한 유형의 클로스트리디움의 먹이가 될 수 있다는 ...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동아사이언스 l2017.08.27
- 변화시킨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사이언스’ 25일자에 발표했다. 장내미생물이 인체의 소화, 흡수, 면역 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식습관으로 체질을 바꿀 수 있다는 증거를 확인한 셈이다. 현재 하드자 족 인구는 1000여 명. 이들은 이중 200명 미만의 사람들이 그때그때 수렵 채집하는 ‘제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피크가 나타났다. 이런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애벌레가 폴리에틸렌을 먹고 소화했다고 결론 내렸다. 다만 논문 말미에서 아직 분해 메커니즘은 규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무튼 이 연구결과가 보도되자 우리나라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추가 연구가 진행해 관련 효소를 찾으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생체이물인 멜라민을 대사해 암모니아와 시아누르산(cyanuric acid)으로 분해하는데, 소화관에서 흡수돼 혈관을 타고 신장에 도달한 시아누르산이 역시 그렇게 온 멜라민과 복합체를 형성해 불용성 결정, 즉 결석을 만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멜라민 분유를 먹은 아기들 가운데 장에 클렙시엘라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나와 있는 음식들의 혈당지수는 평균값일 뿐 개인에 따라 그 폭이 크다. 이는 사람마다 소화효소 유전자의 유형과 발현량이 다르고 영양 섭취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장내미생물의 조성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나나와 쿠키의 경우 언뜻 생각하면 바나나가 혈당지수가 낮을 것 같지만 그 반대인 ...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정도였습니다(섬너는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그 뒤로 존 노스롭은 1930년 소화효소인 펩신을, 웬델 스탠리는 1935년 바이러스를 결정으로 만드는데 성공합니다. 둘은 이 공로로 1946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았습니다. 단백질 결정학을 집대성한 도로시 호지킨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도로시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