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흡수
새김질
소각
분멸
소거
제거
소화력
스페셜
"
소화
"(으)로 총 31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유일한 박테리아가 됐다고 추정했다. 그 뒤 이 박테리아의 한 종이 진핵생물에 잡아먹혀
소화
되는 대신 세포 내에 자리를 잡으며 엽록체가 됐고 그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자 각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관련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서로 겹치는 경우가 많았고 스트레스 대응 단백질에서
소화
효소로 기능이 바뀌는 과정에서 일어난 아미노산 치환까지 동일한 경우도 많았다. 즉 실제로 수렴진화가 일어났다는 말인데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속씨식물이 식충식물이 되는 진화과정에서 선택의 여지가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수축하고 꿈틀거림으로써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항문이 따로 없기 때문에
소화
하고 남은 체내 찌꺼기를 입을 통해 다시 배출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이 화석이 ‘후구동물’의 가장 초기 형태인 것으로 보고 있다. 후구동물은 배아 단계에서 항문이 입보다 먼저 생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것이다. 그리고 말을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짧은 시간에 과도한 정보가 들어오면
소화
할 수가 없다. 중요한 말을 하기 전에 한 템포 쉬면서 주의를 환기시키는 이유다. 한편 발화 속도가 같을 경우도 남성이 여성보다 정보밀도가 높았다. 이에 대해 코헨 프리바 교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
2016.12.21
일으킨다. 이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이 지나치게 모자라면 혈압과 수분 조절 이상,
소화
불량과 우울증, 심각하면 뇌경색이나 뇌출혈까지 초래할 수 있다. 좋은 콜레스테롤과 나쁜 콜레스테롤이 있다? 흔히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불리는 HDL 콜레스테롤은 쓰고 남은 LDL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 ...
[사이언스 지식IN] ① 한달 빨리 온 독감...기말고사 기간 교실엔 빈자리 곳곳
동아사이언스
l
2016.12.14
올해 1월 15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발령된 바 있다.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소화
아동병원에서 한 엄마가 자녀와 진료 차례를 기다리는 모습. - 포커스뉴스 제공 올 겨울은 별게 다 말썽입니다. 겨울철 반갑지 않은 손님, 독감의 때 이른 방문으로 듬성등성 빈 자리가 생긴 교실도 많이 생겼다고 ... ...
성인병의 주범? 소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없다. 또 유병률과의 연관성이 적다하더라도 소금의 과잉섭취는 골다공증과 부종,
소화
장애 등의 원인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여러 논문을 통해 비교해 봐도 다른 나라보다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너무 '짜게' 먹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식습관을 점검해 보는 건 어떨까. ... ...
표범의 추억
2016.11.08
꼭 육식이 아니라도 지나친 고단백 식단은 사람에게 위험하다(단백질
소화
의 산물인 질
소화
합물의 독성 때문에)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식성에 따라 게놈에서 보존도가 높은 영역의 면면도 달랐다. 보존도가 높다는 건 그 유전자의 기능이 꼭 필요해 변이가 일어날 경우 바로 솎아진다는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만들 때 나오는 부산물인 글리세롤을 먹게 한다든가 심지어 목재의 셀룰로오스를
소화
할 수 있게도 만들었다. 또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끄거나 증폭해 대사경로를 바꿔 아세톤은 덜 만들고 부탄올은 더 만들게 유도하기도 했다. 또 클로스트리디움속(屬)의 다른 종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의아할 정도였다. 실제 북해 해안가에 죽어있는 섬샛과 바닷새를 부검해보면 90%에서
소화
기에 플라스틱이 들어있다고 한다. 새들은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먹는다고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해양동물들이 있는 줄도 모르고 섭취할 수 있다. 또 아가미로 호흡하는 과정에서 부유하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