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대부분이 무료로 공개돼 있는데요, 브릭 아티스트들은 이런 프로그램을 이용해 디자인한 뒤 브릭에 모터와 센서, LED 라이트 등을 이용해 움직이는 기계장치인 레고 오토마타를 비롯해 여기 전시장에 있는 작품까지 만든 겁니다.브릭의 세계가 정말 놀랍지 않나요? 자, 그럼 이제부터는 우리나라를 ...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리가 잠을 자는 시간인 자정부터 아침 8시 사이에 가장 많답니다. 그리고 해가 뜬 뒤부터 다시 줄어들지요. 한편, 멜라토닌은 계절에 따라 만들어지는 양이 달라요. 빛의 양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가 늦게 뜨고 일찍 지는 겨울에 가장 많이 만들어지고, 해가 일찍 떠서 늦게 지는 여름에 가장 적게 ... ...
- 독감 백신은 왜 매년 맞아야 할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분열을 할 때 바이러스가 함께 증식한다. 독감 백신은 무균 유정란을 약 10일간 부화시킨 뒤 바이러스를 주입하고 이후 3일간 배양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백신 생산에는 총 6개월가량이 걸리는데, 이 때 유정란이 상하지 않도록 항생제를 투여한다. 따라서 계란 알레르기가 있거나 항생제 내성, ... ...
- 충격이 몸에 남긴 힌트 표피 박탈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있었고 변사자로 추정되는 검은 그림자가 마침 그 틈 사이에 쓰러졌다. 이후 시간이 흐른 뒤 자동차 불빛이 켜지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사건의 처음과 끝이 모두 촬영돼 있었던 것이다. 범인 검거 음주운전 차량이 피해자 밟고 지나가당시 상황을 A 씨의 입장에서 재구성해봤다. 평소 술을 많이 ... ...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실제로 평발 치료에는 깔창 등 보조기구가 많이 사용된다. 발 뒤쪽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아간 것을 상쇄시키기 위해 발의 안쪽 아치 부분을 적당한 질감의 쿠션으로 받쳐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아치를 기존보다 더 높이기 위해 무리하게 깔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효과도 ...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파악하는 기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소형 선풍기 같은 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뒤 공기 중에 섞인 화학 성분을 분석해 내는 것이죠. 화학 반응이란 A라는 화학물질이 B라는 화학물질을 만나 C라는 새로운 화학물질을 생성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가령 우리가 B라는 화학물질을 상자에 넣었다고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태양중심설을 주장함으로써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입증했다면, 삼 세기가 지난 뒤 다윈은 그 지구의 중심에 인간이 있다는 생각마저 앗아갔다. 이제 인간은 철저히 겸허해질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됐다. 그래서 다윈의 종의 기원은 마르크스의 ‘자본론’,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과 더불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시간이 자연스럽게 대화로 채워졌다. 써스크 박사는 당시 캐나다우주국(CSA)에서 은퇴한 뒤 캘거리대 총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그는 은퇴 전 1996년과 2009년 두 차례 우주비행을 하며 캐나다 우주인 가운데 우주에서 가장 오랫동안 머문 기록(204일 18시간 29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1996년 그의 첫 번째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암석에 새겨진 한반도 지각의 역사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지구조운동의 진화과정을 연구합니다. 또 약 7000만 년 전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이 충돌한 뒤 1500만 년 전 지금의 모습을 갖춘 동해의 생성과정 같은 신생대 지질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의 과거를 조명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의 미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하게 될 날을 기대해 보겠습니다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지진 전조현상 식별한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있던 힘이 한계를 넘어서면서 이런 음향신호가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음향신호 뒤에 숨겨진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단층대에 존재하는 입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분석 결과 음향신호를 이용해 단층 구조 안에서 일어나는 힘의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