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어려운 사람도 있었던 모양이다. 고흥군 외나로도 지역이 우주센터 후보지로 확정된 뒤 몇 가지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그 중 하나로 뜬금없이 실무책임자인 필자의 고향이 화제가 된 일이 있었다. 필자의 고향은 경남인데, 경남 지역에서 우주센터 유치 의사를 강하게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후보지가 ... ...
- [미국유학일기] 열심히 쓰고 자연스럽게 말하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심지어 대답조차 하지 않고 “Hi”로 대답하는 게 자연스럽다. 이런 사실을 깨달은 뒤로는 친구들이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작은 표현들을 기억해 뒀다가 사용하는 연습을 했고, 이후 이런 표현들은 굳이 생각하지 않더라도 입에서 자연스럽게 나오게 됐다.표현법 외에도 어려운 것이 있다면 ... ...
- [영국유학일기] 전 과목 1등, 영어만 20점 잘 쓴 에세이 필사하기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항상 1등이었다. 영어가 부족해서 알아듣지 못하는 말은 한글로 발음만 받아 적은 뒤 집에 와서 다시 노트에 정리했다. 그렇게 정리한 노트를 5번씩 베껴 쓰면 대부분의 문장을 외울 수 있다. 단순 문법은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었고, 성적도 높게 나올 수밖에 없었다.반면 영어는 항상 100점 만점에 2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꼴치탈출의 비법, 미션 수업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전체에서 꼴찌를 했다. 속상하고 자존심도 상해 반 학생들을 모아놓고 이야기를 나눈 뒤 수업 방식을 바꿨다.기존에 했던 미션 수업과 학생들이 각각 멘토, 멘티가 돼 2명씩 짝을 짓는 멘토링 수업을 합친 새로운 방식이었다. 먼저 멘토, 멘티가 될 학생들을 나눌 기준이 필요했다. 물론 성적으로 ... ...
-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과정에서 죽을 위험이 커 무분 별한 풀베기도 자제해주길 바랄게. 또한, 추수가 끝난 뒤 여기저기서 다음 농사를 위해 논에 불을 태우는 풍습도 우리를 더욱 위협하고 있지. 수원 청개구리와 사람이 함께 살 순 없을까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바이오나노 지노믹스 광학 지도 작성법 등을 조합해 약 100가지 레시피를 만든 뒤 1등을 뽑았다. 이렇게 나온 1.5버전의 파이프라인으로 현재 100여 개 게놈의 표준유전체를 구축하고 있다. ▲ 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적색목록에 심각한 위기종(CR)으로 분류된 앵무새 카카포. 전 세계에 150여 마리밖에 ... ...
- ‘몸짱’ 되려다 근육통 얻는다 보충제와 근이완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지도 하에 복용해야 합니다. 통증 심할 땐 진통제 든 근이완제 종종 무리한 운동을 한 뒤 근육통이 심해 약국을 찾는 청소년들이 있습니다. 운동 후에 나타나는 근육통은 가볍게는 몸을 움직이기 뻐근한 정도부터 심하게는 계단을 내려가기 힘들 정도로 다리가 후들거리거나, 팔을 들어올리기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춘계학술대회에서 피드백을 받은 뒤 5월 중순 학회지에 투고했다. 두 번의 리뷰가 오간 뒤 마침내 7월 16일 학회지로부터 게재 승인이 떨어졌다(아래 사진). 논문은 JKAS 10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당시의 희열과 감동은 어떤 말로도 표현하기 어려울 만큼 벅찬 감정이었다. 새로 찾아낸 209개의 ... ...
- [수학뉴스] 수학에서도 아름다움 느낀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급수의 합을 구하는 공식과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가우스의 아이디어 등을 알려준 뒤 4개의 풍경화를 보여줬습니다. 각 수학 공식에서 느낀 아름다움이 4개의 풍경화를 봤을 때 지각한 아름다움과 얼마나 비슷한지 0점부터 10점까지 매기게 했습니다. 그 결과 가장 비슷하다고 평가한 풍경화와 수학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예’ 또는 ‘아니오’ 둘 중 하나로 나오는 질문을 n번 하면, 그 질문의 답을 다 들은 뒤에 최종적으로 ‘예’ 또는 ‘아니오’로 결론을 내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예를 들어 ‘열이 있는가?’, ‘목이 아픈가?’, ‘기침은 하는가?’와 같은 질문을 한 뒤, 최종적으로 감기인지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