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음식
"(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방송위성이 사용하는 센티파(SHF), 밀리파(EHF)까지를 포함하는데, 전자 레인지가
음식
을 덥히는 것은 바로 마이크로파의 열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이 문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미국은 지난해 전파의 환경기준을 세워 놓고 있다. 즉 동물실험을 통해 체중 1kg당 4W의 전파를 쏘이면 체온이 1℃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피질) 인류에 이르러 크게 발달한 고등정신작용을 영위하는 부분(신피질)과 구별되어
음식
성등의 본능적인 감각 욕망 행동을 일으키는 곳)라는 중심점도 가진 타원이다"라고 말할 것이다.신피질이 없이는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없는 것이 남성이다. 그러므로 일에 몰두하여 살며 명예 명성 지위를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채소에는 드문 칼슘도 무우청엔 꽤 들어 있는데 1백g당 2백29mg이나 된다. 김치의 섬유질은
음식
이 위에서 효소나 위산과 잘 섞이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변비도 예방해 준다. 또 큰 창자안에서 섬유소는 비타민 복합체로 합성, 몸에 유용하게 쓰인다. 이러한 섬유질 공급은 서구식 식단으로 변해가고 ... ...
PART Ⅲ 곰팡이·버섯류 유용물질 생산하는 자연계 청소부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커 눈에 잘 띄는 것이 버섯이다. 그리스 로마인들은 버섯의 독특한 향미를 즐겨 '신의
음식
'이라고 찬미했고 중국인들은 버섯을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다루어 왔다. 이처럼 식용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돼온 버섯은 동시에 독버섯으로 공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우리가 버섯이라고 알고 있는 ... ...
하이테크시대의 신종병 테크노스트레스의 정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에너지대사가 활발해지고 신체가 활동할 상태가 된다. 반면에 위장의 역할은 억제되고
음식
물 소화와 호흡및 영양축적등의 기능은 떨어진다. 이렇게 생체는 언제나 외부및 내부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조정기능이 활동하고 있는데 스트레서가 생체의 적응력을 넘어 강하거나 장시간 지속하면 이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모두 살균하지 못하는 모든 형태의 식품처리에서도 공통적으로 일어난다. 방사선조사는
음식
에 좋지못한 냄새와 맛을 풍기는 미생물을 없애기는 하지만 식중독으로부터 완전한 보호막은 될 수 없다. 여기에 노파심과도 같은 우려가 있다. 이는 방사선조사로 인해 미생물이 보다 위험한 형태로 ... ...
이것이 전설의 인어(人魚)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오스트렐리아의 상어해안에 서식하는 듀공(Dugong). 이것은 탐험가들에 의해 바다의 요정 사이렌(Siren) 또는 인어(人魚)라는 전설을 낳게한 포유류이다. 왜 이런 ... 듀공이 상어처럼 겁나는 물고기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오래전부터 즐겨 잡았다. 지금도 원주민의
음식
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일련의 과정을 밟을 것이다. 그들은 에어로빅 댄스를 연습하고 콜레스테롤이 적은
음식
물을 섭취하며 평소보다 더 많은 알파파(波)를 발산하면서 주말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병원의 완전한 컴퓨터화 쉽게 눈에 뜨이지 않지만 무엇보다 더 폭넓은 변화는 병원의 완전한 컴퓨터화이다. 병원의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아직도 뒤를 쫓고 있는 형편입니다. 우리는 얼마든지 청량음료도 개발할 수 있는 고유
음식
이 있읍니다. 로얄티를 지불하지도 않고 대량 생산도 가능한 것 말입니다. 무조건 외국에서 잘 팔리는 음료를 들여와 팔지 말고 자체 기술개발로 우리 체질에 맞는 천연음료를 만들어 국민들에게 ... ...
매미, 그길고도 짧은 생애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것이다. 이 가설이 맞는지 어떤지는 확인할 도리가 없다. 그러나 적어도 매미는 '맛있는
음식
'으로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되고 있다는점을 고려할때 매미의 생명주기가 1년단위가 아니라는 사실은 자기와 자기종족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것만은 틀림없다.애벌레가 기어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