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물이 끓기 시작하면 깡통의 대부분은 수증기로 가득 찬 상태가 돼요. 이때 깡통을 뒤집은 뒤 찬물 속에 담그면 순식간에 깡통 속 수증기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다시 물로 변하지요. 그런데 물은 수증기에 비해 부피가 1/1000 정도밖에 되지 않아요. 이렇게 부피가 갑자기 작아지면 깡통 내부의 압력이 ... ...
- [과학뉴스]초대형블랙홀 무더기로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등을 이용해 지난 5년간 300일 이상 퀘이사를 탐색했다. 그 결과, 빅뱅이후 약 8억 년 뒤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83개의 퀘이사가 발견됐다. 그중 66개는 그동안 예상하지 않았던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시키 마츠오카 에히메대 우주및우주적진화연구센터 교수는 “빅뱅 후 8억 ... ...
- [과학뉴스] 깨져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 디스플레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자르거나 잡아당겨 뜯어내는 등 물리적으로 손상돼도 복구가 가능하다. 평균적으로 3분 뒤에 복구가 시작돼 30분 정도면 원래 기능인 발광 성질까지 회복한다. 또한 소재의 점성과 탄성이 높아 휘어지거나 접는 디스플레이도 제작할 수 있다. 다만 기존 디스플레이 소자보다 에너지 효율이 10배가량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예방의 효과가 크다”며 “미국은 1990년대부터, 영국은 2014년부터 성범죄자가 출소한 뒤 보호관찰소 등 지정된 기관에서 주기적으로 거짓말 탐지를 받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범죄 전과자들은 ‘성범죄를 저질렀나’ ‘아동 대상 포르노를 본 적 있나’ ‘성매매 업소에 출입한 적 있나’ 등 ...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는 만큼 생활습관도 타고나는 것이라는 생각이 퍼졌다. doi:10.1093/sleep/26.4.413하지만 4년 뒤인 2007년 아처 교수팀은 PER3 유전자의 영향이 나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해 생체시계의 선천적 유전자설을 부인했다. 인간의 생체시계는 청소년기까지는 유전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지만, 40대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큼, 함께 주기율표를 만들 때는 제작에 앞서 충분히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조율한 뒤 작업에 임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길고도 짧은 2시간에 걸친 주기율표 제작이 끝나고 학생들은 조별로 만든 주기율표를 발표했다. 4조는 원소마다 일일이 국기를 그려 넣어 정성을 가득 담았다. 나세원 양은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과격한 동작을 필요로 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 로보트 재권V의 발목에는 발을 앞뒤로 움직이는 방향과 발목을 좌우로 움직이는 방향 총 2개의 모터를 40Nm급으로 선정하도록 하겠습니다.이제 팔과 다리에 들어갈 모터 선정이 끝났네요. 이로써 신체적인 골격은 어느 정도 갖춘 것 같습니다.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보자. 광자 1개의 운동량은 플랑크 상수(6.626 070 150×10-34m2·kg/s)에 빛의 진동수를 곱한 뒤, 광속(299 792 458m/s)으로 나누면 된다. 빛의 진동수는 광속을 파장으로 나눈 값이므로, 결국 충격량은 플랑크 상수를 파장으로 나누면 된다. 캡틴 마블의 포톤 블라스트는 눈에 보이므로 빛의 파장을 가시광선 ... ...
- [미국유학일기] 국적은 달라도 K팝 댄스로 통한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기뻤다. 물론 물에 홀딱 젖었지만.이렇게나 정이 많은 K팝 동아리 친구들과 나는 10년 뒤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 그때까지 이 친구들과 계속 즐거운 대학생활을 이어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 ...
- [수학뉴스] 250년 된 웨어링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가다!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용하는데, 부커 연구원은 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직접 만든 뒤 컴퓨터로 약 3주 동안 계산해 해를 찾았습니다.이제 100 이하의 자연수 중 아직 해를 못 찾은 자연수는 42뿐입니다. 여러분이 한번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