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할 수 있다”며 “이렇게 만든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원하는 생체 조직의 세포로 분화시킨
뒤
환자에게 이식하면 암 발생을 걱정할 필요는 거의 없다”고말했다. 역분화 없는 직접교차분화 기술도 개발 체세포를 역분화하기 위해 야마나카 칵테일 속 전사 유전자를 모두 움직일 필요도 없어졌다.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최원재. 고려대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하고,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음향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영국 임페리얼칼리지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비파괴검사에 관한 연구를 했다. 현재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초음파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유입된 전기가 왼손으로 빠져나가면서 날카롭게 베인 것처럼 터진 상처가 생겼다.쓰러진
뒤
에는 물이 묻지 않은 머리가 양철 지붕에 닿았고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전류반이 형성됐다. 당시 지붕을 지나는 전선의 전압은 가정용 전압보다 조금 높은 380V였는데, 조건에 따라서는 가정용 전압인 ... ...
[10대의 약] 봄 꽃가루가 '악마'로... 알레르기 비염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코감기는 콧물이 끈끈하고 앞으로 나오기보다는
뒤
로 넘어가기 쉬우며 재채기가 적게 납니다. 또 열이 나는 경우가 많죠. 반면 알레르기 비염은 콧물이 물처럼 맑고 앞으로 줄줄 흘러나오고 재채기가 심합니다. 대체적으로 열이 나지 않으며 눈이나 코 주변이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브라운대 연구팀은 2012년 바늘 96개로 구성된 신경전극을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심은
뒤
이를 로봇 의수와 연결해 커피를 마시게 하는 데 성공했다.김 교수팀은 이 기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폭이 수십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길이가 1mm 정도인 마이크로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거짓말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법칙과 이론은 수백 년
뒤
모조리 새로운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절대 진리라고 믿고 있다면, 이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 의심하고 의문을 던지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지식의 진보와 사회의 발전은 기대하기 힘들다. ... ...
인터뷰. 한국 최고의 데이터분석관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매니저를 만나 조언을 구했다. Q야구단에서 일하면 정말 매일 야구 보나요?일이 다 끝난
뒤
봅니다. 재미로만 보는 게 아니라 꼭 봐야 해요. 이전 자료보다 시즌 중 한 경기의 데이터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야구를 보지 않고서는 제 일을 제대로 할 수 없어요. 경기를 보고 얻은 데이터로 필요한 ...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그 사이에 이번 여행의 종착지인 목성에 도착했군요. 목성의 멋진 소용돌이 관광을 마친
뒤
에 초고속으로 지구로 돌아가겠습니다. 모두 남은 시간 즐겁게 보내세요! 참고자료 이언 스튜어트 '우주를 계산하다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이때 나눠진 두 부분의 길이 비는 내분비라고 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선분을 연장한
뒤
, 연장선 위의 점을 기준으로 선분을 외분하는 점을 외분점이라고 한다. 여기서 선분을 나누는 비율을 조금씩 바꾸면 달라지는 점의 자취를 그릴 수 있는데, 이 자취는 원이 된다. 최경식 교사는 칠판을 다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피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평면에 데이터를 찍어 분포도를 만든
뒤
패턴을 찾으면 되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그렇게 하니 한눈에 그래프를 분석해 숨겨진 문제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됐죠. 이것이 바로 응답시간 분포도예요. 처음 이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는 너무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