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새로운 이해는 생물학에서 진화론이 그러했듯 지질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근본적으로 뒤바꿔 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진이나 화산활동은 물론 전 지구적 물질순환, 과거 대륙과 생물의 분포, 습곡 단층과 같은 지질구조의 형성, 암석과 광물의 생성 및 변성에 이르기까지 연구 대상을 ... ...
-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미세혈관이 발견됐다. 해부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마티아스 군제르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형광물질로 염색해 실험하던 중 ... ...
- [수학뉴스] 꿀벌도 더하기·빼기 이해한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방식으로 가르쳤죠. 이렇게 꿀벌 14마리에게 더하기와 빼기를 각각 100번씩 훈련시킨 뒤 설탕물과 퀴닌을 없애고 실험한 결과 더하기는 약 70%, 빼기는 약 66% 확률로 알아맞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스칼렛 하워드 연구원은 “인간 외에도 다양한 동물의 뇌가 복잡한 수학 개념을 그들이 가진 언어로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이공계가 아닌 사람도 알만한 것을 추렸다. 그리고 수학 개념과 어울리는 안무를 짝지은 뒤 조금씩 바꿔 매스 댄스 안무를 완성했다.반응은 성공적이었다. 무대에서 직접 춤을 춘 홍 과학 커뮤니케이터는 “관객들이 적극적으로 호응 해줘서 피곤한 줄도 모르고 춤을 췄다”며, “반응이 워낙 좋아 ... ...
- [퀴즈] 사와디카 코쿤카 킹앤카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동아 블로그에서 2019 태국탐사대를 본 정수는 ‘태국 앓이’에 빠졌다. 외식할 때면 항상 태국 음식을 먹고 동아리실에 들어올 때도 태국 말로 인사했다. 급기야 복도에서 마주친 교수님께 실수로 ‘사와디캅’이라고 인사한 뒤, 정수는 개강의 부담을 안고라도 태국으로 떠나기로 결심했다! ...
- [수학미술관]설탕에 녹아든 달콤한 수학, 슈가플래닛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순서에 상관없이 r개를 택하는 것을 말합니다. 비슷한 수학 개념인 순열은 조합을 한 뒤에 나열하는 순서까지 생각한 경우입니다. 각설탕은 정육면체 모양이므로 1개에서 총 6가지 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설탕 2개로는 6×6=36개, 3개로는 6×6×6=216개의 단어 조합을 만들 수 있는 것이죠. 같은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선현들이 그토록 갈망한 과학조선의 완결판이다. 김근배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과학사 및과학철학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 ...
- [화보] 헝가리에서 날아온 유럽 나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때입니다. 왕줄나비는 기후변화 때문에 이제는 헝가리에서 매우 보기 힘든 종이고, 몇 년 뒤에는 헝가리에서 아예 자취를 감출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알바니아에서 아폴로모시나비(Parnassius apollo)를 봤을 때도 기억에 남습니다. 아폴로모시나비 20마리가 엉겅퀴라는 식물 근처에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12년의 연구가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8년, KSTAR 연구진은 플라스마 중심 이온온도를 1.5초간 1억 도 이상으로 올리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8월 말부터 12월까지 진행한 KSTAR 플라스마 실험을 통해서다. 플라스마 이온온도 1억 도는 핵융합 반응의 원료가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미8 익스플로러’에는 광학필름을 이용한 광학 센서가 들어갔다. 이 방식은 빛을 쏜 뒤 손가락 지문에서 반사되는 빛을 읽어 들여 사용자를 확인한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이 방식에 대한 평가가 낮은 편이다. 화면에서 발생하는 빛과 손가락 지문에서 반사된 빛이 중첩돼 지문을 제대로 읽지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