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살기 좋은 보리밭 주변을 보호해야 해요. 또 수원청개구리 올챙이들이 어느 정도 자란 뒤 논에서 물을 빼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많은 올챙이들이 물 빠진 논에서 말라죽는 것을 보았거든요. Q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해요~! 저도 처음부터 지사탐을 쉽게 시작하지 않았단 얘길 ...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직접 조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어요. 일반적으로 비행기는 몸체가 땅에서 떠오른 뒤 바람을 타는 순간부터 여러 방향으로 흔들려요. 이때 몸체의 균형을 잘 잡는 게 비행 성공의 중요한 열쇠지요. 라이트 형제는 조종사가 비행기의 날개와 몸체를 조종하는 장치를 만들었어요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대기권에 진입해 극초음속으로 비행하지요. 일단 비행기를 수직으로 세운 뒤 추진체를 발사해 땅으로부터 100km 위로 상승해요. 이후 비행기와 발사체를 분리한 뒤, 비행기만 높은 대기로 들어오지요. 이때부터는 별도의 엔진이나 프로펠러를 이용하지 않고 활공해요. 이때의 비행기는 음속보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연어가 물을 거슬러 올라오는 움직임이 뚜렷하게 보였지요. 연어는 강에서 태어난 뒤 바다로 내려가서 수년 동안 살다가, 알을 낳기 위해 가을에 강을 거슬러 올라와요. 연구에 따르면 연어는 지구의 자기장을 탐지하고 기억해 자신이 태어났던 강으로 정확하게 돌아온다고 알려졌어요. 알을 낳기 ...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몸이 그렇게 무거운 ‘고니’? 큰고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렇게 짝을 맺은 큰고니들은 다시 3000km의 먼 거리를 날아 번식지인 유럽으로 떠난 뒤, 5~6월에 알을 3~7개 낳아요. 큰고니는 넓은 물이 있는 곳에서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요. 10kg에 달하는 무게에 비해 다리가 약해 하루 종일 다리로 지탱하며 땅 위에 서 있기 힘들거든요. 올 겨울엔 큰 강이나 ... ...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 내가 아시아를 다녀온 뒤 항로가 개척되면서 실크로드가 많이 변해 왔구나. 아무리 그래도 육로로 지나가는 것만 하겠어? 나 때는 말이야…, 배를 타지 않고도 잘 다녔다고. 엇? 요즘은 배를 타지 않고도 바다를 건너갈 수 있다고? 사장교 | 강주아오 대교의 세 군데에 사장교 구간이 있다. 먼저 중국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눈송이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라는 추측을 남겼답니다. 300년 뒤, 과학자들은 엑스선 분석을 통해 실제로 물 분자가 육각형을 이루며 결합해서 얼음을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눈송이는 육각형 모양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그 생김새는 모두 달라요. 1885년에 눈송이의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나비’의 초음파 흡수량을 비교했어. 초음파를 확성기로 내보낸 뒤 돌아오는 초음파를 비교한 결과, 나방은 최대 85%, 나비는 20%의 초음파를 흡수했지. 연구진은 우리 몸에 난 털의 구조가 방음재에 사용되는 섬유의 구조와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했어. 나방의 털에는 아주 작은 구멍이 매우 많아.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만든 전기, 한국에서 쓴다! 우리가 쓰는 전기는 국내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뒤, 송전선을 타고 집이나 학교로 와요. 그런데 아시아 지역의 전력망이 연결되면 앞으로 몽골이나 러시아의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 에너지를 우리나라에서 쓸 수 있답니다. 몽골의 풍부한 바람과 햇빛 에너지를 이용해 ... ...
- Part 3. “다음 정거장은 달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딥 스페이스 게이트웨이에서 화성으로 향하는 우주선으로, 우주인을 화성에 데려다 준 뒤엔 다시 게이트웨이로 돌아오지요. 즉, ‘달과 화성을 왕복하는 셔틀버스’인 셈이에요. 딥 스페이스 트랜스포트는 2033년에 화성 항해를 목표로 현재 개발 중이랍니다 ... ...
이전2862872882892902912922932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