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이템인가 봐.”채윤이가 말하자, 언제 나타났는지 뒤에서 아저씨의 목소리가 들렸어요.“드디어 아이템의 정체를 알게 됐군! 이제 무엇이든 크기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을 거야.”수호가 신나서 피젯 스피너를 다시 돌렸어요.“어엇!” [개념 퀴즈 ... ...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이때 반려조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반려조와 보호자가 충분히 친해지고 난 뒤 시행해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반려조는 보호자를 위협적인 존재라고 여기고 물거나 보호자가 나타날 때마다 심한 스트레스를 겪을 수도 있지요.그렇다고 반려조와 친해지기 위해 집에 데려오자마자 자꾸 ... ...
- [과학뉴스] 아픔 느끼는 로봇 손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연구진은 ‘환각지’ 현상에 주목했어요. 환각지는 사고나 병으로 신체 일부를 잃은 뒤에도 여전히 몸에 남아 있다고 느끼는 현상을 말해요. 사람에 따라서는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를 ‘환지통’이라고 하지요.연구진은 환지통을 이용해 통증을 느낄 수 있는 로봇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작기 때문에 미세한 신호까지 잡아낼 수 있다는 게 장점이지요. 뿐만 아니라 뇌에 심은 뒤 신경을 자극하면,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 같은 신경 질환을 치료할 수도 있답니다.그동안 마이크로 전극은 실리콘으로 주로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실리콘은 단단한 탓에 몸 안에 이식할 경우 세포를 망가뜨려 ... ...
- [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하지만 식충식물은 식물이면서 곤충을 잡아먹지요. 식물학자들은 곤충을 유인해 잡은 뒤, 이를 소화시킬 수 있는 식물을 식충식물이라고 불러요. 그래서 식충식물은 ‘벌레잡이 식물’로도 불린답니다. 그렇다면 식충식물은 왜 곤충을 잡아먹을까요? 식물은 대개 뿌리를 통해 성장에 필요한 ... ...
- [과학뉴스] 하야부사-2, 소행성 ‘류구’에 도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2’가 지구에서 2억 8000만km 떨어진 소행성 류구에 도착했어요. 지난 2014년에 발사된 뒤 3년 반 동안 날아 다다른 거지요. 류구는 지금까지 탐사된 적이 거의 없는 C형 소행성이에요. C형 소행성은 S형, M형 소행성에 비해 덜 뜨겁기 때문에 태양계가 탄생할 당시의 물질이 변형되지 않고 남아 있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포의 파도, 이안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양쪽 해변에 점점 파도에너지와 바닷물이 쌓이면 상대적으로 파도가 약한 암초 뒤편으로 빠른 속도로 빠져나가지요. 이것이 바로 이안류랍니다.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은 해변에서 500~1000m 떨어진 곳에 암초가 울퉁불퉁 솟아 있어요. 이로 인해 파도가 좌우로 나뉘어 해변을 향해 들어오지요. 그래서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해요. 용기 내부는 불순물을 100% 제거한 상태지요. 여기에 메탄과 수소 기체를 주입한 뒤, 온도를 3000℃까지 올려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요. 그러면 메탄이 순식간에 분해되면서 탄소 원자가 다이아몬드 결정에 결합해 커다란 다이아몬드로 자라지요. 지난 5월 영국 카디프대학교의 올리버 윌리엄스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오류가 발생해요. 그 이유는 GPS 위성이 보낸 정보가 대기 중의 기체나 수증기를 만난 뒤전송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에요. 또 GPS 위성과 정보를 받는 수신기의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에도 최대 수십 m의 오차가 생긴답니다. 반면 위성기반 보강항법시스템은 지상국에서 받은 GPS 정보를 계산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기생한답니다.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붙으면 자신의 유전물질을 세포 안에 침투시킨 뒤 이를 복제해 자신과 같은 바이러스를 만들어내요. 이 과정에서 숙주 세포가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질병을 일으킨답니다. 음악, 영화, 게임, 사진은 물론 동영상과 친구와의 대화까지 우리는 평소 수많은 ... ...
이전2932942952962972982993003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