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에어로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어로겔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페트(PET)병 소재로 미세섬유를 만든 뒤 이를 실리카로 코팅해 에어로겔을 만들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플라스틱 병 하나를 재활용해 A4 크기의 에어로겔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에어로겔은 다른 에어로겔과 마찬가지로 매우 가볍다. 하지만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받았다. 동해 바닥을 이루는 지각이 한반도 동쪽 지각 아래로 파고들기 시작해 수백만 년 뒤에는 동해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도 화제가 됐다. 이외에도 이탈리아와 중국 연구팀이 전신마비 환자의 머리에 뇌사자의 몸을 이식하는 수술을 시도하고 있다는 소식과, ‘아이스맨’ 외치가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없는 상황”이라며 아쉬움을 더했다. 앞으로 연구팀은 비행 고도를 더 높여 2년 뒤 20~30km 상공에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과학로켓을 개발할 계획이다. 권 교수는 “내년 발사를 목표로 10km 이상 비행 가능한 과학로켓을 개발 중”이라며 “국내에서는 발사가 어려워 미국 모하비 사막에 있는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융합생산기술연구소 로봇그룹 수석연구원은 “어느 정도 기본적인 학습을 마친 뒤에 사용자와 생활하면서 추가적으로 학습해 개인 맞춤형 AI가 되는 ‘점진적 학습(incremental learning)’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나를 위해 맞춤 데이터를 가진 AI가 개발된다고 해도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공장에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H-VEX)’을 투입해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H-VEX는 몸을 뒤로 젖힌 채 팔을 들고 일해야 하는 작업자의 힘을 보조해주는 시스템이다. 최대 60kg를 추가로 들 수 있어 목과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돕는다. ● “내 팔과 다리 속에 총 66개의 전도체가 심어져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암세포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고, 항암제 내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은 뒤 이를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약을 개발할 수 있다. 세포 수만 개 유전체 정보는 최대 1TB 단일 세포 유전체 분석 연구가 등장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2009년 처음 이 기법이 등장했을 때만 해도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지났을 때인데, 대부분의 여성들은 이때 임신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임신임을 확인한 뒤 엽산 보조제를 챙겨 먹어봐야 이미 늦은 셈입니다. 엽산 보조제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 미국 정부는 가임기 여성에게 엽산 보조제를 복용하는 권고안을 발표했지만 크게 효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그러다 1 ...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도 치매에 걸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등 활동성을 평가하는 항목도 있습니다. 18개 전 항목에 대해 점수를 기록한 뒤 이들을 모두 더합니다. 총점이 4~15점에 해당하면 경증, 16~33점에 해당하면 중증, 34점 이상이면 고도의 인지기능 장애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개의 경우 8~10년령의 3.4%, 10~12년령의 5%, 12~13년령의 23.3%, 그리고 1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파뉼 홀 마켓플레이스 | 미국 보스턴의 역사적인 건축 파뉼 홀 마켓플레이스를 방문한 뒤 북서쪽에 있는 클레이 수학연구소를 꼭 들러야 합니다. 이 연구소는 2000년 5월 24일 수학계 7대 난제를 ‘밀레니엄 문제’라고 명하고 문제마다 1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걸어 유명해졌어요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초반이니까 최석정이 살았을 때보다 약 100년 뒤입니다. 그런데 최석정이 남긴 라틴방진이 아벨 군의 덧셈표와 같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아쉬운 점은 별다른 설명이 없어서 최석정이 아벨 군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거예요. 하다못해 이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