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찾았다. 올빼미의 날개깃 앞쪽 끝은 뻣뻣한 털들이 빗살 형태를 이루고 있고, 날개깃 뒤쪽 가장자리는 부드러운 잔 깃털들이 빽빽하게 나 있다. 이는 소음의 주요 원인인 소용돌이 기류가 생기는 것을 억제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스틴 저워르스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및이론물리학과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업무협력협정(MOU)을 체결했다. 이 연구시설 조성에는 210억 원이 투입되며, 2019년 완공한 뒤 2020년부터 본격적인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선 실험시설은 양양에 이어 지하실험연구단이 운영하는 두 번째 지하실험실이다. 지하실험연구단이 직접 땅을 파고 수직 갱도를 뚫을 수 없는 만큼 이미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결핵약을 지원해오던 국제단체 ‘세계기금’이 올해 6월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한 뒤였지요.결핵이라니, 여러분에겐 생소한 질병일지도 몰라요. 하지만 북한에서는 결핵이나 장티푸스, 류마티스열 등 세균성 질환이 흔해요.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가 조사한 결과 북한 내에 결핵 환자의 수는 ... ...
- [과학뉴스] 어린이 화재 대피, 화재경보기보다 엄마 목소리가 효과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5~12세 어린이 176명에게 일반 화재경보 소리와 엄마 목소리가 담긴 경보를 각각 들려준 뒤 대피하게 했다. 그 결과, 일반 화재경보기가 울렸을 때에는 53%의 어린이가 잠에서 깼고, 51%가 침실 밖으로 대피했다. 반면 엄마의 목소리로 된 경보에는 무려 86~91%의 참가자가 잠에서 깼고, 84~86%가 침실 밖으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촬영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전송하고, 지상에서 이것을 보기 쉬운 영상으로 가공한 뒤 다시 위성으로 올려보내고, 위성이 기상청 등 사용자에게 배포하기까지 총 2~3분밖에 안 걸린다. 천리안 1호는 같은 작업에 15분이 걸렸다. 이는 변칙적인 태풍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측해서 어떤 지역에 호우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세 가지다. 남 학예연구사는 “우리 민족은 해외의 우수한 기술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인 뒤, 이를 기존에 갖고 있던 기술과 융합해 자신만의 기술로 재창조했다”며 “우수한 것을 받아들여 더 우수하게 재창조하는 우리 민족의 정신은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융합생산기술연구소 로봇그룹 수석연구원은 “어느 정도 기본적인 학습을 마친 뒤에 사용자와 생활하면서 추가적으로 학습해 개인 맞춤형 AI가 되는 ‘점진적 학습(incremental learning)’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나를 위해 맞춤 데이터를 가진 AI가 개발된다고 해도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때문이다. 억지로 뜯다보니 동물의 피부도 같이 뜯겨졌고, 이로 인해 깃털이 뽑힌 뒤 피부가 여기저기 상처로 얼룩졌지만 바늘과 실로 대강 꿰매는 데 그쳤다. 이 장면이 영상으로 공개되면서 동물학대 논란이 거세게 일었다. 이후 미국의 비영리 섬유 전문 협회인 TE(Textile Exchange)는 2014년 ‘RDS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점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수술은 질소 가스를 수술 부위에 주입해 공간을 확보한 뒤 포트(port)라고 불리는 구멍을 몇 개 뚫어 한쪽으로는 내시경을, 다른 쪽으로는 수술 기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즉, 수술 기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로봇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암세포가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파악하고, 항암제 내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은 뒤 이를 이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약을 개발할 수 있다. 세포 수만 개 유전체 정보는 최대 1TB 단일 세포 유전체 분석 연구가 등장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2009년 처음 이 기법이 등장했을 때만 해도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