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트륨"(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02
- 경쟁력이 없었습니다. 우리는 보다 저렴하고 안전한 생석회(CaO), 수산화칼슘(Ca(OH)2), 탄산나트륨(Na2CO3), 염화칼슘(CaCl2) 등을 사용합니다.”이 중에서도 고로 슬래그와 생석회로 만든 무시멘트 결합재는 특허 등록을 마치고 기술 이전까지 완료했다. 원래 생석회는 액체 상태인 하수 슬러지를 고체로 ...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과학동아 l201702
- 혀뿐만 아니라 눈, 코, 입, 귀, 장기 등을 통해 느낀 여러 감각을 뇌가 종합해 ‘맛있다’라는 판단을 내리면, 우리는 그 음식을 ‘맛있는 ... *발효조미료: 발효법으로 만든 양념. 장 이외에도 미생물 발효로 생산하는 글루탐산나트륨(MSG), 핵산 조미료 등이 있다(발효용어사전, 식품과학회) ...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결과 구슬의 크기가 커지고 딱딱했던 구슬이 고무처럼 말랑말랑해지지요.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무려 자기 부피의 400배나 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어요.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 덕분에 기저귀 속 흡습제로 많이 쓰인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종이와 석고를 이용해 멋진 화산을 만들었어요.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캐비어가 돼요!”과일맛 캐비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음료수와 물에 각각 알긴산나트륨과 염화칼슘을 섞어야 해요. 그리고 음료수를 물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면 음료수가 물방울 모양 그대로 굳어서 젤리가 되지요. 같은 원리로 숟가락에 망고 주스를 담아 물에 살짝 놨더니 달걀 노른자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요구르트 병 로켓이 날아오를 수 있겠죠? 원리 발포정은 비타민과 같은 약물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섞어서 만든 것이다. 발포정을 물에 넣으면 거품이 보글보글 생기는데, 거품 속 기체가 바로 이산화탄소다. 이렇게 발포정을 녹인 물을 마시면 탄산음료를 마시는 기분이 든다. 그래서 발포정으로 ... ...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12
- 물에 잘 녹게 하려고 나트륨을 첨가해 화학조미료로 분류했다. 하지만 물 속에 녹아 나트륨이 떨어져 나가면 천연재료를 끓여 나온 MSG와 동일하다. | MSG 조미료1g고기단백질 함량이 많아서 MSG의 양도 많다. 그러나 워낙에 단백질을 많이 필요로 하는 생물이라 MSG의 99%는 덩치가 큰 단백질 상태로 ... ...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10
- 물질과는 잘 섞이지 않습니다. 우유에 물을 넣어 보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죠. 혈액은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 등이 많이 함유된 극성 물질입니다. 이 둘이 만나면 제대로 섞이지 않고, 무극성 물질들끼리 뭉쳐 덩어리질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두 학생 중에 한 명이라도 우유의 상태를 확인했거나,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전기가 통하지 않는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수돗물은 칼슘 이온, 나트륨 이온 등 여러 이온들을 가지고 있어 실제 실험에선 설탕물도 전기가 약간 통할 수 있어요.소금물을 이용해 반죽을 만들면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반죽을 만들 수 있어요. 이때는 밀가루를 이용하는 게 좋아요. ...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과학동아 l201609
- 보면 유성의 색깔이 무지개처럼 다채로운데, 운석에서 나온 금속에 따라 달라진다. 나트륨 원자는 주황색, 철 원자는 노란색, 마그네슘은 파란색, 이온화된 칼슘은 보라색을 띤다. 유성과 충돌한 대기 중 질소 분자와 산소 원자는 빨간색을 낸다. 사진은 권순길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08
-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수분섭취에 따른 변화였습니다. 특히 혈액의 당, 항이뇨호르몬, 나트륨, 칼륨 등의 농도가 긍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선수들이 체중 감량 막바지에는 체내 수분을 급격히 줄이기 때문에 이를 다시 회복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던 것 같습니다.캐 아, 말씀드리는 순간 이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