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트륨"(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02
- 높였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나가던 감자칩과 비교했을 때 당은 물론 지방과 나트륨이 더 많다. 물론 구할 수 있어야 주의할 수도 있겠지만. 컴퓨터가 만든 성형 미인 프링글스감자를 통으로 써는 생감자칩과 달리 프링글스는 감자를 으깨 반죽한 뒤 모양을 만드는 성형감자칩이다.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01
- 꼬리처럼 보이는 것이다.혜성의 중심인 핵을 이루는 물질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와 나트륨, 규소, 황, 마그네슘, 철 등의 원소로 알려져 있다. 이는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있었다고 추정하는 성분과 같다. 그래서 이전부터 천문학자들은 혜성이 태양계 탄생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다고 여겼다 ...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과학동아 l201501
- 등의 쓴맛을 줄인다. 쓴맛을 내는 요소와 설탕이 든 혼합물에 약한 짠맛을 내는 초산나트륨을 넣으면, 쓴맛은 감소하고 단맛은 강해진다(그래프 참조). 반면 설탕만 들어있는 용액에 소금을 넣으면 단맛에 큰 변화가 없다.다시 말해 쓴맛과 단맛이 같이 있으면 짠맛이 단맛의 천적인 쓴맛을 억제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01
- 확 떨어지게 됩니다. 이를 중성자 감속이라고 부릅니다. 반면 수소보다 무거운 납이나 나트륨 같은 금속을 사용하면 충돌이 일어나고도 속도가 적게 떨어지게 됩니다 ... ...
- 짜디 짠 라면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내보내는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라면에 넣는 것도 좋아요. 라면을 먹을 때 우유를 마시면 나트륨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들도 있어요.좋았어! 그런데 싱거운 라면을 먹어도 뇌박사가 자꾸 놀리면 어쩌지? 뚱뚱하다고 놀림을 받으면 더 뚱뚱해질 수 있다는 연구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11
- 게 좋아요.➌ 한 번에 500㎖이상 마시지 않는다.물을 한꺼번에 너무 많이 마시면 몸속 나트륨 농도가 낮아져 물중독 증상이 올 수 있어요. 또 위속에 있는 소화물이 소장으로 넘어가 소화기관에 무리가 갈 수도 있죠. 건강을 위해 하루에 많은 물을 마시되 한번에 마시는 물의 양이 500㎖를 넘지 않도록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11
- 은 모두 현재 연구 단계다. 차세대 원전은 액체금속을 냉각재로 쓰는 납냉각고속로와 나트륨(소듐)냉각고속로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둘 다 아직 수십 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 더구나 이들만으로는 장수명 핵종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새로운 제염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가장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09
- 그리고 질소 등으로 분해가 되는데, 이 때 나오는 질소는 식물이 자라는 데 활용되고 나트륨과 칼륨 등은 해조류를 키우는 데 쓰인다. 해조류는 물론 우리의 식량이다. 해조류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무기질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바이오돔 안에서, 물질은 남거나 버릴 것이 없다. ▲ 지구에서 ...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06
- 이상으로 가열하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해요. 그래서 설탕을 녹인 뜨거운 액체에 탄산수소나트륨을 넣으면 이산화탄소 기포가 생기면서 부풀어 오르는 거랍니다. 빵이나 과자를 만들 때도 베이킹소다가 쓰여요. 하지만 베이킹소다는 쓴맛이 나기 때문에 너무 많이 넣으면 안 된답니다. 추억의 놀이 ... ...
- 양자역학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405
- 장난으로 헬륨가스를 마셔도 왜 괜찮은지, 가스레인지의 불은 왜 파란색인지, 리튬과 나트륨(소듐), 칼륨(포타슘)은 왜 화학적 성질이 비슷한지 등을 밝힐 수 있다. 화학자들이 수백 년 동안 만들어낸 원자 주기율표를 양자역학은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준다.당신은 양자역학 덕분에 숨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