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상"(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벗어날 수 있었다. 트라우마의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명상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명상으로 트라우마를 치유할 수 있는 과학적인 원리가 밝혀지기를 기대해 본다. 이덕주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동을 통해 마음은 점차 평온해지죠. 제게는 이때가 수행과도 같은 명상의 시간입니다. 공간은 점점 채워지지만 마음과 정신은 반대로 비워지거든요. 이런 수행의 감정을 공간에서 평면으로 가져온 작품이 선을 반복적으로 그어 면이 되는 모습을 포착한 ‘Meditation(명상 ... ...
-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회적인 불안, 공격성, 스트레스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doi:10.1016/j.pedn.2015.12.001). 명상을 통해 어릴 때부터 사진으로 찍혀진 본인의 삶을 돌아볼 때 자신을 정확히 알게 되고, 세상을 인식하는 차이에서 비롯되는 갈등, 스트레스, 번뇌, 고통의 원인이 허상 때문이라는 인식에 도달할 수 있지 ...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밖에 없다. 명상이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청소년의 인성교육을 위해 명상을 정규 과목에 포함시키면 어떨까. 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장,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었다. 걱정과 번뇌가 사라지니 행복감이 증가하고 뇌 기능도 향상됐다는 증거다.명상을 하면서 행복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마음을 비우고 잡생각을 버리면서 쓸데없는 불안과 걱정, 비교, 열등감 같은 부정적인 생각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나를 객관적으로 보게 돼 성공까지 이룰 수 있으니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반면 어린 시절이 불행했던 사람은 당시의 기억만 떠올려도 고통스러워진다. 마음빼기 명상에서는 마음을 ‘뇌에 저장된 사진’으로 정의한다(doi:/10.1016/j.pedn.2015.12.001).사람마다 각기 다른 마음 카메라사람들은 각자 살아온 삶이 다르기 때문에 마음도 각기 다르다. 하물며 한 가족 안에서 자란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손을 들어 턱을 괴거나 다리를 꼬기도 한다. 평소 생각 안 나던 것이 어느 순간 눈을 감고 명상을 하면 갑자기 떠오를 때도 있다. 설 소장은 “그 모든 것이 무의식이 걸어놓은 최면에 따른 것”이라며 “민감한 정도가 다를 뿐, 조건만 맞으면 누구라도 걸릴 수 있는 게 최면”이라고 말했다.+ 더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었다. 명상이 더 이상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누구나 생활에서 명상을 하면서 자기 마음의 근본을 알아가는 시대가 됐다.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NASA를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장, 한국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그림, 시 등을 보내면서 이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환기시키는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명상이나 스트레칭, 그림 그리기 등 직접 몸을 움직이는 활동 프로그램과, 실제 PTSD 치료에 쓰이는 안구운동민감 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을 응용한기능도 넣었다. 아무 콘텐츠나 보내는 것이 아니라 각 분야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연구마다 제각각이다. 연구 결과가 사후 끼워 맞추기 해석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명상을 하는 수준, 반복하는 횟수도 개인차가 커서 통제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두뇌의 놀라운 능력을 긍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신경과학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마음과 몸의 건강을 되찾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