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분류하고 섞는 ‘로보틱 프린터’를 이용해도 꼬박 일주일이 걸린다. 연구진은 일주일 뒤 또 다른 금속을 또 다른 비율로 섞기를 반복하며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유 교수는 “40~50년 전에 비해 백금의 비율을 100분의 1로 줄였지만, 내연기관과 경쟁하기 위해 10분 1을 더 줄여야 한다”며 ...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특히 우리나라에 야생동물을 돌볼 수 있는 수의사가 많지 않다는 기사를 접한 뒤 야생동물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수의사가 되겠다는 꿈을 가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수의사라는 자신의 꿈에 한 발짝 다가가고 있다. 백 씨는 “건국대 장학생으로서 많은 지원을 받고 있다” 며 “재학 기간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방법이랍니다. 대변을 보면서도 먹는 토끼, 정상인가요?토끼는 커다란 앞니 두 개와 그 뒤에 짧은 이 두 개, 아랫니 두 개 등 총 28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어요. 어느 정도 자라면 성장을 멈추는 다른 동물과 달리 토끼의 이빨은 평생 자라요. 그래서 적당한 이빨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선 먹이에 ... ...
- 자연을 아우르는 절대 수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간단한 방정식 하나로 다양한 동물 털 무늬의 생성 원리를 밝히려고 했습니다. 약 40년 뒤인 1988년, 제임스 머레이 영국 옥스퍼드대 수리생물학과 교수가 튜링의 아이디어를 좀 더 구체화했습니다.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의 해가 화학물질이 반응하는 시기와 태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그 ...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곤충 232종의 날개 무늬 468개를 분석했습니다. 각 날개를 현미경으로 확대해 촬영한 뒤 그 형태와 면적 등을 분석했습니다. 그결과 연구팀은 잠자리의 날개 무늬가 다음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먼저 날개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는 긴 ‘시맥’이 형성됩니다. 시맥은 매미나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현재 프로토타입이 개발될 만큼 상용화가 그리 먼 얘기가 아니다”라며 “이르면 3년쯤 뒤에는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체내 ‘페이스메이커’ 무선으로 충전한국전기연구원은 1999년 10kW급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개발했고, 2011년에는 가정에서 휴대전화나 태블릿PC 등을 충전할 수 있는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명언을 떠올리게 된다. 이용구서울대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삼성SDS를 거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광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연구하고 있다. lygu@gist.ac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약 1%가 앓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글루텐민감성이 있는 사람들은 밀가루 음식을 먹은 뒤 배탈, 복부팽만, 설사, 두통, 가려움증, 천식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글루텐을 비롯한 밀 속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유력한 용의자로 꼽힌다. 이와 같은 증상이 ...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극소량 포함된 탄소가 지하 150~220km의 고온고압 환경(1300~1800도, 6만5000기압)에서 결정화된 뒤 지하 깊은 곳에서 빠르게분출되는 특별한 화산 활동인 킴벌라이트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블루 다이아몬드는 이보다 최대 4배 더 깊은 곳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반 스미스 미국 보석감정연구소(GIA)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가량 떨어진 카다라쉬에 위치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본부. 안전장비를 착용한 뒤 차에서 내려 10여 분을 걸어 들어가자 축구장 60개 규모(42만m2)의 건설 현장이 눈앞에 펼쳐졌다.기체 저장탱크를 지나 본관으로 들어서자 지름 28m, 높이 24m에 이르는 초대형 핵융합로가 설치될 구조물 건설이 ... ...
이전3033043053063073083093103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