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이 되어 떠난 스티븐 호킹…과학자들이 기억하는 그의 삶
2018.03.15
학생시절부터 사귀어온 제인 윌데와 박사과정 시절 결혼해 자녀들을 낳았다. 하지만 30년
뒤
인 1995년, 자신을 돌보던 간호사 일레인 메이슨과 재혼하며 제인과 헤어졌다. 이형목 교수는 “어려서부터 두 사람을 알던 친구들은 어려운 시절을 함께한 제인과 헤어진 데 대해 가슴 아파했다”고 전했다.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호킹은 블랙홀도 양자역학의 기본원칙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였다. 10년
뒤
인 2014년 호킹은 이를 재차 수정했다. 블랙홀에는 물질을 빨아들이는 사건의 지평선 조차 없으며, 블랙홀에서 양자역학을 위배해 정보를 잃은 입자가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양자중력이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사연이 책의 판매에 도움이 되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인정했다. 그
뒤
에도 호킹은 대중 과학서를 몇 권 더 썼고 딸 루시와 함께 작업하기도 했다. A Brief History of Time (1998) - Amazone.com 제공 호킹은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 의견을 내는 걸 주저하지 않았는데 그 가운데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호킹. 고등과학원에서 강연을 마친
뒤
하회탈 목걸이를 선물한 학생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있다. - 과학동아 제공 “일찍 죽을 거라는 예상 속에 내 인생의 대부분을 살았다. 그래서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2006년 스티븐 호킹 박사가 한 말이다. 그는 1963년 스물한 살의 나이로 전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해도 공감각 소유자가 2만5000명 가운데 한 명꼴로 아주 드문 현상이라고 추정됐지만 그
뒤
비율이 점점 올라가 2005년 정밀조사 결과 23명에 한 명꼴로 공감각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떻게 20년 사이 비율이 1000배나 높아졌을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과거에는 공감각자 대다수가 자신의 감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오른쪽)는 크기도 더 크고 생김새도 포멜로에 더 가깝다. -강석기 제공 그
뒤
종종 이 그레이프프루트를 사 먹는데 논문과 관련 자료를 읽다 보니 이게 포멜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포멜로가 이렇게 맛있을 것 같지는 않다. 자료를 좀 더 살펴보니 그레이프프루트를 포멜로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
동아사이언스
l
2018.02.25
특히 예술은 현생인류의 독보적인 성취라고 선을 그어온 고고학계의 기존 주장을
뒤
엎어 화제가 됐다.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에게도 상징 능력이 있었다는 사실이 증명됐다”며 “그들 역시 현생인류다”고 주장했다. 자세한 기사 ☞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6만 4000년 동굴벽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미칠 노릇이었다. 모임에서 이 광경을 지켜보던 제당업계 사람들은 한 달
뒤
당연구재단(SRF)을 통해 헤그스테드에게 접근해 설탕이 문제라는 논문들에 대한 검토를 부탁했고 헤그스테드는 “충분히 폭넓은 관점에서 검토해야 가치가 있다”는 조건으로 수락했다. 헤그스테드는 이 논문들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앓는 쥐들에 깔때기그물거미 독에서 추출한 단백질 ‘Hi1a’를 주입했다. 그리고 2시간
뒤
, 80%의 쥐에서 뇌 손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했다. 이처럼 동식물이 지닌 맹독은 사람의 목숨을 위협하기도 하지만 때론 건강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이런 이중성 때문에 독은 오랜 기간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164시간이었고 9일이 지나자 모두 죽었다. 반면 그냥 과당 용액을 먹은 초파리들은 9일
뒤
에도 90% 이상 살아남았고 염화칼슘이 1mM 농도로 포함된 과당 용액을 먹은 초파리들은 거의 다 살아남았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이번 연구의 발견은 다른 동물에서도 칼슘 이온의 맛이 불쾌하게만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