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뒤"(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현상이다. ‘뉴런’의 리뷰논문은 심리학 연구결과인 위의 능동적 망각들을 짧게 설명한 뒤 최근의 신경과학 연구결과인 ‘고유망각(intrinsic forgetting)’이라는 개념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즉 뇌에는 ‘망각세포(forgetting cell)’가 있어서 디폴트 모드로 수시로 망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에 머물렀다. 연도별 최대수명의 경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100년 전 이미 110세였고 그 뒤 120년 가까이 흐르는 동안 한 사람(잔 칼망)을 제외하고는 120살을 넘지 못했다. 분홍색은 여성 최장수자 파란색은 남성 최장수자의 사망 시 나이다. 빨간색(여)과 주황색(남)은 올림픽출전 선수의 최장수자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TPT3다). 연구자들은 세린과 결합하는 tRNA의 유전자에서 안티코돈 부분을 ‘GYT’로 바꾼 뒤 플라스미드에 넣었다. 물론 이 대장균에는 배지에 넣어준 dXTP와 dYTP(각각 5NaM와 TPT3의 데옥시삼인산으로 복제에 필요), XTP와 YTP(각각 삼인산으로 전사에 필요)를 세포 안으로 받아들이는 ...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동아사이언스 l2017.12.03
- 이 과정이 천천히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일부 빙하는 질량이 계속해서 축적된 뒤 한 번에 순간적으로 빙하가 부서져 얼음 조각이 빠르게 쏟아져 내리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사태를 일으키는 원인은 빙하 속으로 파고드는 물이다. 비가 내리거나 빙하가 녹아 표면에 고인 물은 ... ...
- [사이언스 지식IN] 北 신형 ICBM 화성 15형, 워싱턴까지 타격한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기술적 문제 등이 다각도로 작용했다고 분석하는게 맞을 겁니다. 핵 실험을 6회 실시한 뒤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은 파키스탄처럼 북한도 잠정적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습니다. 지난 9월 6번째 핵실험을 감행한 바 있죠. 여기에 올해만 벌써 18번의 미사일 시험을 진행하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발견은 교육을 비롯해 많은 영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인슈타인의 뇌를 분석한 뒤 다이아몬드 교수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교세포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나이가 든다고 증가하는 건 아니었다. 즉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지도 머리를 많이 썼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일으키는 와포자충 같은 원생생물에도 듣는 구충제로 지금까지 널리 쓰이고 있다. 그 뒤 B형 간염과 C형 간염, 심지어 인플루엔자(독감) 같은 바이러스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노르웨이 베르겐대와 중국 상하이대 등 다국적 공동연구자들은 기존에 나와 있는 약물 ...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동아사이언스 l2017.11.19
- 3번의 수술로 소년의 팔, 다리, 허리 그리고 가슴에 새로운 피부를 이식했다. 수술 뒤 21개월에 거친 추적검사를 통해 소년의 피부는 80% 가량 정상인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명됐다. 암이나 이식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유전자 조작을 통한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를 실증했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비해 훨씬 더 마음을 편하게 한다고 답했다. 연구자들은 첫 방에서 5분 정도 지난 뒤 두 그룹 모두 RG값이 약간 커지는 현상에 대해서 참가자들이 상황에 적응하면서 지루함을 느껴 스트레스 수준이 약간 올라간 것 같다고 추측했다. 즉 파란빛은 스트레스 직후 몇 분 동안만 강한 이완효과가 있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발표한 논문에서 저자들은 대만에서 2003년 쥐방울덩굴속 약초의 유통이 금지된 뒤에도 AA관련 간암이 만연한 주된 이유가 역시 AA를 함유한 쥐방울덩굴과 족도리속 약초가 제한 없이 널리 쓰였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족도리풀(학명 Asarum sieboldii)의 모습으로, 약재로 쓰이는 뿌리줄기가 세신(細辛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