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밀크
젖
쇠젖
소젖
젖병
서울우유
d라이브러리
"
우유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영국 작가 루이스 캐럴(본명 찰스 루트위지 도지슨)이 1872년 발표한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1865년 발표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 정밀한 거울분자의 세계를 열어가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스카톨과 인돌이다. 또 황화수소와 메탄, 암모니아 기체도 냄새를 만든다.사실 스카톨은
우유
단백질(카세인)에 많이 들어 있다. 몸속에서 합성할 수 없지만 살아가는 데 반드시 필요한 트립토판이 분해될 때 스카톨이 생긴다. 구조가 스카톨과 비슷한 인돌은 트립토판 같은 아미노산이나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메탄과 수소, 암모니아 혼합물에 전기 스파크를 일으키면 아미노산이 합성됨을 증명한 1953년 미국 생화학자 스탠리 밀러의 실험은 생명의 ... 흥미진진한 생명현상을 보여주는 열쇠인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 캐서린 더글러스, 피터 로린손(영국 뉴캐슬대)‘이름이 있는 소가 그렇지 않은 소보다
우유
생산량이 많음을 입증’평 화 : 스테판 볼리거 외 4명(스위스 베른대)‘맥주가 들어 있는 병이 빈 병보다 머리에 내리쳤을 때 덜 위험함을 규명한 실험’경 제학 : 아이슬랜드 은행 네 곳의 경영자들‘소형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키가 쑥쑥 자라려면 어떻게 해야 돼요?”“먼저 편식하지 말아야 해. 콩나물이나
우유
를 많이 먹는다고 키가 크지는 않는단다.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칼슘이나 단백질은 물론 지방 같은 영양소도 먹어야 해.”“뭐든지요?”“굳이 하나를 제외하자면 콜라는 많이 먹지 않는 게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9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첫 번째 그룹은 버터나 치즈,
우유
, 쇠고기에 많이 들어 있는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을 함유한 먹이를, 두 번째 그룹은 포도 씨와 올리브유에 많은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인산을 함유한 먹이를 줬다. 연구팀이 두 그룹에 준 먹이의 열량은 같았다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조금 집어 힘을 줬더니 가루처럼 쉽게 으스러졌다. 맛은 어떨까. 윽! 짜다.“그렇게
우유
빛깔이 나고 잘 으깨지는 소금이 좋은 소금이여. 먹어 봐. 끝 맛이 달제.”언제 왔는지 소금장인이 불쑥 말을 건넨다. 소금이 달다는 소금장인의 설명에 처음엔 머리를 갸우뚱했지만 다시 한 알을 입에 넣어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가축 개량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적은 사료로 양질의
우유
와 고기를 많이 생산해 좋은 값에 팔아야 농민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뜻이다.대표적인 가축 개량 기술이 바로 체외수정이다. 유전적으로 우수한 암소의 난자에 우수한 수소의 정자를 주입해 만든 수정란을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커다란 눈에 어려 보이는 외모로, 턱이 뾰족한 브이라인으로 넘어오더니 이제는
우유
같이 희고 매끄러운 피부란다. ‘피부’라는 단어를 들을 때마다 속상한 사람들이 있다. 한창 꾸미고 싶고 예뻐 보이고 싶은데, 갑자기 나타난 불긋불긋한 여드름 때문에 괴로운 20대들이다. 적의 정체를 확실히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목에 부리를 넣고 젖을 빨아 먹는다.호남대 생물학과 이두표 교수는 “비둘기 젖은 보통
우유
보다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알에서 깬 직후의 새끼는 소화능력이 부족해 애벌레나 곡식을 잘 먹지 못하기 때문에 어미가 젖으로 고단백 영양을 공급해준다는 뜻이다. 이렇게 자란 새끼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