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분
영양
영양소
자양분
음식물
음식
뉴스
"
영양분
"(으)로 총 42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가 스스로 ‘청소’하게 만드는 메커니즘 첫 규명
2016.06.16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CARM1 단백질이 분해되지만,
영양분
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되면 CARM1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고 안정화돼 히스톤 단백질 변형을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쥐를 굶긴 뒤,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을 저해한다고 ... ...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 동물?
과학동아
l
2016.06.04
존재하는 대다수의 나뭇잎을 먹이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초록 잎에도 약점은 있다.
영양분
이 매우 부족하다. 이파리를 주식으로 삼으면 다른 동물과 경쟁하지 않는 대신 엄청난 양을 먹어야만 한다. 그만큼 소화하는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콜로부스 원숭이들은 마치 내장지방이 가득한 중년 ... ...
한여름보다 따가운 햇빛, 5~6월 자외선을 피하려면?
2016.05.26
있을까요? 자외선 차단을 꾸준히 신경쓰면서, 음식을 통해 항산화 물질과 눈 건강을 위한
영양분
을 잘 섭취한다면 보조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비타민 E는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 작용을 하고 자외선으로 인한 광 손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러한 비타민E가 풍부한 ... ...
척수도 출력이 되나요? 3D 바이오프린터의 세계
2016.05.20
성상세포를 맞춤형으로 만들어 내는 수준에 이르렀다. 남은 문제는 이들 세포에
영양분
을 공급하고 생존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을 만드는 일이다. 김 교수는 “세포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생존 환경도 제각각이어서 이를 모두 충족하는 조건을 찾기가 쉽지 않다”며 “이 ... ...
기린 목은 왜 길어졌나
2016.05.18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기린은 다른 동물에게는 독성물질이지만
영양분
이 풍부한 아카시아 잎을 주식으로 삼는다. 연구진은 아카시아 잎을 소화할 수 있는 기린의 대사능력 역시 이 유전자의 영향일 것으로 예상했다. 모리스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쥐에게 ... ...
효모 세포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6.05.13
세포질이 고체로 변하면서 성장과 분열 속도가 현저히 줄었다. 연구팀은 여기에
영양분
을 다시 투입했다. 죽은 것처럼 보였던 세포의 pH가 다시 높아졌다. 세포질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면서 물질 대사와 성장, 분열도 정상으로 회복됐다. 알베르티 연구원은 “세포질의 상 변화가 세포의 휴지를 ... ...
거미 풀 뜯어먹는 소리하고 있네?!
2016.05.05
South Carolina 제공 한편 주요 저자인 마틴 니펠러 박사는 “거미들이 식물을 통해
영양분
을 섭취하는 것은 자신들의 먹이 기반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라며 “그들의 주요 먹이인 곤충이 부족할 경우, 생존을 위한 여러 가지 체계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거미들이 채식을 함으로써 ... ...
애벌레 or 달팽이? 좀비 달팽이
2016.03.21
다른 동물의 몸에 기생하여
영양분
을 빼앗아 생활하는 벌레라는 건 다들 알고 있지요? 그런데 몸집이 큰 동물뿐만 아니라 작은 달팽이에도 기생하는 기생충이 있다고 합니다. 흡충(吸蟲)에 속하는 ‘류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Leucochloridium paradoxum, 이하 류코클로리디움)’인데요. 이 기생충이 ... ...
칩 위에 사람 장기 키우는 ‘생체 칩’ 뜬다
2016.03.18
것처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도록 했고, 모세혈관 세포로는 피가 흐르게 해 산소와
영양분
은 공급하고 노폐물은 배출하도록 설계했다. 인간의 폐에 있는 허파꽈리 기능을 그대로 모방한 것이다. 이 칩은 당시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연구원이던 한국인 과학자인 허동은 펜실베이니아대 바이오공학과 ... ...
모기에 대해 궁금한 것 6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2.22
만드는 제품도 있습니다. 흡혈을 하러 오는 모기는 이미 짝짓기가 끝나고 알을 낳기 위해
영양분
을 보충하려는 암컷 모기입니다. 암컷 모기는 단 한 번의 교미로 일생에 필요한 모든 정자를 수컷에게 받은 뒤, 저장해 놨다가 알을 낳을 때 씁니다. 교미가 끝난 암컷 모기는 다른 수컷 모기를 피하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