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될 것이다.봉수찬_scbong@kasi.re.kr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박사후연구원과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태양 전파폭발과 플레어, CME 등 다양한 태양활동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현이 달려 있어 소리가 생기는 부분인 앞판에서 울림통으로 소리가 빠르게 전달돼, 뒤판까지 진동을 일으키면서 증폭돼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데서나 자라는 가문비나무나 단풍나무로는 좋은 악기를 만들기가 어렵다. ◀ 스트라디바리우스, 과르네리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수제 바이올린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개구리의 난자에 삽입하는 겁니다. 앞서 한 실험처럼 난자의 유전물질을 모두 파괴시킨 뒤에요.이렇게 만들어진 핵 치환 수정란들은 몇 달 후 개구리가 됐는데 모두 다 피부색이 흰 개구리였습니다. 난자의 유전물질이 아닌, 분화된 체세포의 유전물질이 개체의 발달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을 더 ... ...
- [Photo] 한 조각 붉은 마음을 품은 철, 적철석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붉은 행성이라고 부르는데, 화성의 붉은색 역시 적철석 성분이 풍부한 산화철이 표토를 뒤덮고 있기 때문이다.산업적인 측면에서 적철석은 제철용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광석이지만, 광택이 아름다워 준 보석(검은 다이아몬드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의 집합 형태도 콩팥형,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세월이 흐르고 그들의 후손들은 모두 시투아의 환경에 적응하도록 유전자 조작을 받은 뒤 행성으로 내려가 살고 있었고 직경 20km의 우주 콜로니에는 내려가 살 수 없는 순수 지구인 유전자를 가진 노인들만 남아 있었다.이젠 수천 명밖에 안 남은 그들은 매일 하늘의 구석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채취한 DNA의 메틸화를 분석하면 어느 조직에서 유래했는지 알 수 있다. 과연 옷장 뒤에 묻어있던 살점은 X의 것일까. 어떤 조직에서 온 것일까.- 혈흔 분석 의뢰를 받은 Y 교수 # 일 년 전 X가 살던 집민정과 X는 어떤 관계였을까. 비밀을 풀기 위해 주민등록상 일 년 전 X가 살던 곳으로 무작정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하자. 딥비트는 이 문장을 소리 나는 대로 ‘나는 수학꽈 래블 조아해’라고 바꾼다. 그 뒤 문장에 들어있는 자음을 모두 제거하고 단어별로 쪼개서 {아은, 우악와, 애을, 오아애}라는 집합 A를 만든다. 이제 가지고 있는 모든 가사 데이터도 집합으로 바꾼 뒤, 집합 A와 자카드 유사도를 계산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흘렀고, 풀어야 할 문제는 많았다.‘첫 번째 문제부터 이러면 어떡하지….’얼마 뒤….정신을 차린 하림이 문득 단말기 화면을 보자 그곳에는 전자펜으로 아무렇게나 끼적인 낙서 뿐이었다. 문제 풀이는 시작도 못한 셈이었다.“으아아! 이게 뭐야! 나보고 어쩌란 거야?!”하림은 큰 소리로 외치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위잉~! 꿀벌의 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건드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벌침을 빼낸 파부르는 가방에서 비누와 물 한 병을 꺼낸 뒤 시원이에게 건넸어요.“시원아, 일단 비눗물로 오로라의 팔을 씻어 줘. 난 주변에 도움을 청할 곳이 있는지 찾아보고 올게.”파부르가 떠나고, 시원이는 파부르가 시킨 대로 오로라의 팔을 비눗물로 ... ...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LED 램프인 ‘루미르’를 만들었지요.루미르는 전기나 배터리 없이 양초에 불을 붙인 뒤 제품을 올려놓기만 하면 LED가 켜지는 램프예요. 그런데 어떻게 촛불로 LED 램프를 켤 수 있을까요? 핵심 원리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 주는 ‘제벡효과’예요.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의 양끝을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