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0.001기압 수준의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하이퍼루프원은 철제 터널을 만든 뒤 용접으로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시험 주행 트랙을 만들었다. 현재까지는 이 방식이 터널 건설에서는 가장 유력한 기술로 꼽힌다. 하지만 철로 터널을 지을 경우 자성을 이용하는 자기부상열차의 부상과 ...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과목에 포함시키면 어떨까. 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해석’으로 불리는 가장 영향력 있는 양자역학의 해석이다. 양자역학이 탄생한 뒤 80년 동안 이 해석대로 예측한 값은 실험과정확하게 일치했다. 그러나 관측하기 전까지는 입자가 어디에 있을지 알 수 없어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던 사람은 1954년 ... ...
-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생생한 뒷이야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나왔답니다. 여러분도 한번 풀어보세요! 고난도 문제 탄생 비화대회가 폐막하고 이틀 뒤인 7월 25일, 유명 수학 커뮤니티 ‘mathoverflow.net’에 질문 하나가 올라왔어요. 이번 대회의 6번 문제를 ‘1월 17일에 온라인 논문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올라온 한 대수기하학 관련 논문에 나오는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교수가 7월 15일 미국에서 40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던 것이다. ‘최초’ 수식어를 받은 뒤 채 3년이 지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다. 이 소식에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이란 출신의 세계적 수학자 미르자카니의 죽음을 애도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SNS에도 추모글을 올렸다. 미르자카니 교수가 ... ...
- 영국에서 온 수학 놀이터 팀 매스 챌린지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것이 목적이다. 영국에서는 중등부와 고등부 두 대회로 나눠 매년 초 지역 예선을 치른 뒤, 6월에 전국 결선을 진행한다. 특이하게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도 상장이나 상금 같은 보상이 없다. 그저 놀고 싶은 아이들이 놀이터에 모이는 것처럼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이 한데 모여 재미있는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물질의 구조를 밝혀낸 공로로 1964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답니다.세계적인 과학자가 된 뒤에도 호지킨은 인슐린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했어요. 또, 남성 위주의 과학자 사회에서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차별에 대해 지적하고, 세계 평화를 위해 헌신하기도 했답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우리 몸을 입체모형으로 배워 보자! ‘사이언스크래프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종이를 펼쳤을 때 대칭이 아닌 도형은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나머지 종이와 함께 뒤로 누워 버리거든요. 도형의 중심선이 종이 전체의 중심선과 다르기 때문에 균형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어떤 도형이든 종이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맞춰 주어야 한답니다.기자단 친구들은 ... ...
- [Focus News] 질소 먹고 위에 구멍, 질소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닿아 동상을 입은 경우에는 체온 정도의 따뜻한 물에 손을 담가 환부의 온도를 조금 높인 뒤 응급실로 오면 된다”며 “그렇다고 불을 쬐거나 드라이기를 이용하는 등 건조한 상태에서 온도를 높이는 방법은 조직의 손상을 더 심하게 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3. 드라이아이스,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2월 ESA가 주최한 ‘인간과 로봇의 탐사 협력 시대’ 심포지엄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뒤를 잇는 기지를 달에 건설하고자하는 열망을 드러냈다. 건설할 위치는 물의 존재가 유력해 보이는 달의 남극 부근이다. 건축 자재는 달에서 채굴한 흙을 3D 프린터에 넣어 찍는 방식으로 충당하고, 건설은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