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시작하는 보통의 수학 수업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우오오!” 발표가 끝난 뒤 이어지는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환호가 터졌다. ‘카훗’이라는 앱을 활용해 지난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스피드 게임을 하다 나온 소리였다. 교사가 미리 만들어 놓은 문제를 모니터에 띄우면, 학생들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2×3 촘프를 부분순서집합으로 바꿔 보도록 하죠. 우선 모든 조각을 좌표로 나타낸 뒤 한데 모아 집합 {(1, 1), (1, 2), (2, 1), (2, 2), (3, 1), (3, 2)}를 만듭니다. 이 집합에서는 좌표의 가로와 세로가 모두 크거나 같은 좌표를 ‘크다’고 할 거예요. 따라서 (2, 2)는 (2, 1)보다 크지만 (3, 1)과는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배웠어요. 이렇게 잡은 물고기는 어벤저스가 직접 종을 구별하는 ‘동정’ 작업을 거친 뒤에, 모두 원래 살던 곳으로 돌려보내 주었답니다.22일 탐사에서는 잉어과에 속하는 ‘참마자’와 ‘돌마자’를 볼 수 있었어요. 가슴에 하얀 줄이 있는 ‘흰줄납줄개’와 모래 속에 몸을 쏙 숨기는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크다”며 “여름철 태닝을 한 사람도 레이저 제모는 피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또 시술 뒤에는 땀이 나는 운동도 가급적 피해야 한다. 땀으로 배출된 노폐물 속 세균이 시술 부위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털이 많은 기자에게 레이저 제모는 곧 눈물이었다. 모낭이 몰려있는 턱과 인중 부위를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실험했다. 먼저 피뿌리풀의 항염증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대식세포에 염증반응을 유도한 뒤 8가지 물질을 처리했을 때 염증반응이 억제되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상처치유 증식기에 있는 세포에 피뿌리풀의 8가지 화합물을 넣었을 때 피부각질세포의 이동과 분화가 빨라지는 현상도 확인했다. 특히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40분씩 야외수업을 했고, 나머지 6개 학교에서는 기존에 하던 대로 실내수업을 했다. 3년 뒤 근시가 발병한 어린이 비율은 각각 30%와 40%로 다소 차이가 났다.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저널(JAMA)’ 2015년 9월 15일자에 실렸다(doi:10.1001/jama.2015.10803). 전문가들은 하루 3시간, 1만 럭스(lux) 이상의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야기를 나눴다. 깜깜한 밤바다에 별처럼 반짝이는 야광충도 만났다. ➊ 해삼을 해부한 뒤 해삼 내부에 사는 미생물을 배지로 옮기고 있다.➋ 연구단이 바다에서 거대한 해삼을 발견해 관찰하고 있다.➌ 맹그로브 숲을 탐험하며 염분이 빠져나와 짠맛이 나는 맹그로브 잎의 표면을 맛보기도 했다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붙여서 만든다. 물을 흡수하면 백색가루에서 투명하고 동그란 겔 형태로 바뀐다. 그 뒤에는 압력을 가해도 물이 다시 새어 나오지 않는다. 임대영 그룹장은 “고흡수성 고분자는 많은 양의 소변을 흡수해야 하는 기저귀에도 쓰는 물질”이라며 “먹어도 문제가 없을 만큼 안전성을 인정받았다”고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임기응변이었지만요. 자, 지베르티가 만인의 웃음거리가 된 현장이 바로 저 골목 뒤쪽입니다. 모두 이쪽으로 따라오세요.” 저는 서른 명의 관광객을 이끌고 그늘을 따라 제가 조금 전에 가리킨 골목길로 접어들었습니다. 아주 잠깐 햇빛이 머리 위를 달궜지만 채 다섯 걸음도 내딛기 전에 다시 그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우리 몸을 입체모형으로 배워 보자! ‘사이언스크래프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종이를 펼쳤을 때 대칭이 아닌 도형은 앞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나머지 종이와 함께 뒤로 누워 버리거든요. 도형의 중심선이 종이 전체의 중심선과 다르기 때문에 균형이 맞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어떤 도형이든 종이의 접는 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맞춰 주어야 한답니다.기자단 친구들은 ... ...
이전3733743753763773783793803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