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손가락에 부착된 전기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런 기술이 가능한 이유는 손이 잘려 나간
뒤
에도 여전히 뇌에서는 잘린 손의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을 향해 ‘동작하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출시되는 전자 의수는 손동작을 20가지 이상 만들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손가락 끝에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했다.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이수재 충북대 약대 교수 등이다. 인터뷰를 마친
뒤
에는 이병길 박사에게 “함께 사진을 찍자”며 “사진이 언론에 나가면 이 박사도 한국에서 유명해질 것”이라며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지난해 10월호 과학동아에 한 번 소개되고 끝났을 사진이 헨더슨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쓰여 있다. 특히 ‘증보산림경제’에는 민물 게를 소금물과 간장에 담근 지 5~6일
뒤
에 꺼내라고 적혀 있다. 이대로 민물 게장을 만든다면 폐디스토마에 감염될 가능성이 충분히 높다. 또한 조선 후기 의학책인 ‘의휘(宜彙)’에는 홍역에 대한 치료법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된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내부는 용해됐다. 이후 알 수 없는 지질 활동으로 충격을 받아 그 껍질이 쪼개졌다. 그런
뒤
능아연석으로 치환 되면서 쪼개진 뚜껑이 간신히 경첩처럼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자연은 오랜 세월에 걸쳐 신비한 광물을 창조한다. 지질학자라고해도 광물이 겪은 모든 현상을 세세히 밝혀낼 수는 없다.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다루더군요. 2년을 못 버티고 빠져나왔습니다. 그때 약간 물리적 충돌이 있었지요. 그
뒤
에 포보스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오시는 길에 핵미사일을 여러 기보셨을 겁니다. 그게 정부의 대응이었고요. 지금은 묘한 대치 상태입니다. 저희는 흩어지면 약합니다. 한 개인으로서 발휘할 수 있는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정보를 하나하나 확인할 수 없으니, 중요해 보이거나 암호처럼 보이는 정보만 골라낸
뒤
분석할 거예요. 이때 암호는 모습이 복잡해 ‘암호’라고 의심하지만, 스테가노그래피는 평범한 글이나 사진처럼 보여서 의심조차 하지 않을 거예요. 정보를 숨기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요즘에는 사진과 영상,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물음표에 들어갈 숫자를 찾아낸 건 다름아닌 하리의 친구 가은이였다. 가은이는 그림을
뒤
집었을 때 86부터 91까지 숫자가 순서대로 나타나는 것을 보고 물음표에 들어갈 숫자는 87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16 06 68 88 ? 98 키클로스의 미로를 빠져나갈 수 있을까? 하리와 친구들은 미로를 벗어나기 위해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진학했다. 손 대표는 “사업은 문제를 발견하고 어떻게 해결할지 가설을 세운
뒤
, 그 가설이 참인지 거짓인지 검증하는 과정”이라며, “문제를 발견할 강한 계기가 나에게 생겼을 뿐이지 전공은 상관없다”라고 말했다. 유 이사도 “코딩 교육이 대중화되면서 기술적인 면으로만 접근하는 경우가 ...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V)의 발광다이오드(LED) 전등을 켜는 데도 성공했다. 실에 풍선을 매달고 바닷속에 넣은
뒤
, 파도가 오르내림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생산되는 현상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배터리가 필요 없는 휴대전화나 연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드론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doi:10.1126/science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깎이는 화학적 삭마 현상이 일어난다. 화학적 삭마란 재진입체의 재료가 열을 흡수한
뒤
깎여나가면서 내부 기관을 보호하는 작용을 말한다. 마치 초가 탈 때 밀랍이 열을 흡수해 녹으면서 심지를 보호하는 것과 유사하다. 대략 사거리 4000km까지는 재진입 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열에 아주 ... ...
이전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