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내부는 용해됐다. 이후 알 수 없는 지질 활동으로 충격을 받아 그 껍질이 쪼개졌다. 그런 뒤 능아연석으로 치환 되면서 쪼개진 뚜껑이 간신히 경첩처럼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자연은 오랜 세월에 걸쳐 신비한 광물을 창조한다. 지질학자라고해도 광물이 겪은 모든 현상을 세세히 밝혀낼 수는 없다.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DRDC 연구센터를 경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힘든 여행을 마친 뒤에는 캐나다의 몇 안 되는 전통 음식인 ‘푸틴’을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감자를 껍질째 썰어 튀기고 그 위에 그레이비 소스와 응고된 치즈를 얹어 먹는 음식인데, 어마어마한 열량만큼 큰 힘을 내줍니다. 1950년대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다루더군요. 2년을 못 버티고 빠져나왔습니다. 그때 약간 물리적 충돌이 있었지요. 그 뒤에 포보스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오시는 길에 핵미사일을 여러 기보셨을 겁니다. 그게 정부의 대응이었고요. 지금은 묘한 대치 상태입니다. 저희는 흩어지면 약합니다. 한 개인으로서 발휘할 수 있는 ...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했는데, 거기에 스도쿠 문제가 있었어요. 그런데 너무 어려워서 끝까지 못 풀었어요. 그 뒤로 까맣게 잊고 살다가 2006년 다시 만났어요. 당시 군인이어서 남는 시간에 마땅히 할 게 없었어요. 스도쿠를 풀기 위해 끈질기게 물고 늘어졌지요. 그때 스도쿠에 매료됐어요.” 틈날 때마다 스도쿠를 생각한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말이야?”예상하지 못한 장소에서 종이를 발견한 학생들은 환호했다. 보물찾기가 끝난 뒤 학생들은 여섯 가지 게임(따라 찍어요, 릴레이 그림 그리기, 99초 게임, 3×3 마방진 게임, 몸으로 말해요, 3초 안에 말해요) 부스를 돌아다니며 미션을 수행했다. 각 부스별 미션에 성공하면 부스 담당자의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격자를 이용합니다. 크기가 같은 격자를 시계 방향으로 90° 돌려서 원래 격자와 포갠 뒤에 게임을 한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게임 규칙은 이렇습니다. 먼저 원래 격자에서 게임을 할 사람을 라이트, 90° 돌린 격자에서 게임을 할 사람을 레프트라고 정합니다. 레프트는 맨 위에 있는 n개의 점 중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현상이랍니다. 해빈 커습은 보통 모래나 자갈이 많은 해안가에서 폭풍우가 몰아친 뒤에 나타나요. 바닷물이 해변에 부딪히면 움푹 들어간 곳에서부터 볼록 나와 있는 지점으로 물이 모이죠. 그렇게 모인 물은 수직방향으로 다시 바다를 향해 흘러나간답니다(위 사진 화살표).해빈 커습은 세계 곳곳의 ... ...
- Part 2. 소라게야, 새집 줄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결과는 대성공이었어요. ‘SUUMO’와 도쿄대 연구팀은 이 초록색 인공집을 해변에 뿌린 뒤, 카메라만 남기고 멀리서 소라게들이 나타날 때까지 몰래 지켜봤어요. 긴 기다림 끝에 소라게가 드디어 인공집을 발견하고는 주변을 요리조리 탐색했어요. 그러더니 곧이어 좁은 집에서 나와 인공집으로 쏙 ...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부위에 메트로를 바르고 자외선을 쬐면 단단하게 붙는다. 연구팀은 돼지 폐를 절개한 뒤 이 접착제로 붙이는 실험에 성공했으며,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관련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쥐의 뇌 조직에서 띠뇌실막세포를 떼어낸뒤, 리신과 아르기닌 등 주요 아미노산을 배양액에 넣었다. 그 결과 아미노산을 인식한 지 30초 만에 뇌가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신호물질을 방출했다. 연구진은 리신과 아르기닌이 많이 든 음식을 먹으면 쉽게 ... ...
이전3673683693703713723733743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