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parrotfish)은 강력한 이빨로 산호를 떼어낸 뒤 잘게 부숴 해초를 골라먹고 남은 가루는 뱉어내는 습성이 있다. 파랑비늘돔 한 마리가 이렇게 만드는 모래의 양은 연간 90kg에 이른다. 푸파 길버트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학과 교수와 매튜 마르쿠스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 ...
- [과학뉴스] 버려지는 양파껍질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들었다. 금 전극 위에 양파 껍질을 입히고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고무(PDMS)등을 덧붙인 뒤 전선을 이었다. 그 결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61.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뭇잎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정도의 힘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만큼 민감했고, 여섯 개의 장치를 이용해 LED 전구 73개의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분하기 때문이다. 딥미러의 성능이 궁금해졌다. 딥미러에게 기자의 이름을 알려준 뒤 카메라에 얼굴을 가까이 댔다. “이정아, 94%”라고 뜬다. 윤 책임연구원은 “70% 이상이면 본인으로 인식한다”며 “딥미러의 얼굴 인식률은 1000명 기준 99% 이상으로 꽤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는 미간에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력을 쌓았다는 알파고 ‘제로(Zero)’가 발표됐다. 알파고 제로는 고작 사흘을 학습한 뒤 이세돌 9단을 물리친 알파고를 100대 0으로 이겼다. 인류가 수천 년에 걸쳐 축적한 바둑 실력을 스스로 돌파한 지능은 과연 어느 정도로 똑똑할까. 인간의 직관이나 자의식이 어떤 원리로 발현되는지 알고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영입된 PI는 테뉴어 트랙으로 연구를 시작하고 테뉴어 여부는 2년 뒤 중간평가, 다시 4년 뒤 최종평가를 거쳐 결정된다. 최종평가에서 테뉴어를 받지 못하면 즉각 연구소를 떠나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 2~3년의 유예 기간이 주어질 수도 있다. 오웬스 부원장은 “NIH 소속 연구자들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움직이지 못하고 배아는 무작위로 좌우 축을 결정합니다. 동전을 던졌을 때 앞 또는 뒤가 나올 확률이 반반이듯, 이 돌연변이가 좌우를 우연히 잘 맞춰 정상적으로 발달할 확률과, 좌우가 바뀌어 발달할 확률은 50 대 50입니다. ‘노들’ vs ‘레프티’ 상반된 단백질이 좌우 결정 그럼 다시 움직이는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준 내용을 정리해 미지의 질문자에게 답장을 보냈다. 두 번째 메일은 답장한 지 몇 시간 뒤에 도착했다. 이상한 사진은 첨부되어 있지 않았다. 어김없이 정중하고도 어색한 글뿐이었다. 『우리의 관측 장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안타깝게도 더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제공하는 것은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끈 4개를 모두 끊으면 그 동전을 가질 수 있고, 도트 앤 박스와 마찬가지로 동전을 얻은 뒤엔 끈 하나를 더 끊어야 합니다. 도트 앤 박스의 상자 한 개가 동전 한 개와 같고, 이웃한 두 상자는 끈으로 연결한 동전과 같습니다. 두 상자가 공유하는 선분을 그리는 것은 동전 사이의 끈을 끊는 것과 같지요 ...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실에 의문을 품었다. 연구팀은 베이지색 지방이 많은 쥐에서 짝풀림단백질-1을 없앤 뒤 고칼로리 식단을 제공했다. 그 결과 단백질이 사라져도 여전히 비만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베이지색 지방에 에너지를 태우는 또 다른 경로가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세포 안의 칼슘 ... ...
- [과학뉴스] 따뜻하면서 시원한 옷, 개발될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용해 더울 때는 탄소 층이 바깥을 향하게, 추울 때는 구리 층이 바깥을 향하게 한 뒤 인공 피부의 온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각각 3도 가량 체온이 낮아지고, 높아졌다. 쿠이 교수는 “바깥층에 무엇을 놓느냐가 온도변화를 크게 좌우했다“며 “이 직물이 옷으로 개발된다면 건물의 온도를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