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 주는 여름우리나라의 폭염도 점점 강해지고 있어요. 예전의 폭염은 보통 장마가 끝난 뒤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한 달 동안 나타났어요. 그런데 2014년부터는 봄인 5월에 폭염 주의보가 발령되기 시작해서, 가을인 9월에도 나타나고 있지요. 폭염이 빨라지고 길어진 거예요.여기에 열대야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제가 나로호를 발사시켰어요!”박상준 기자는 버튼을 눌러 발사체에 연료를 공급한 뒤, 나로호를 성공적으로 발사시켰어요. 우주과학관 한켠에서 한국의 과학로켓 역사를 살펴보던 서영아 기자는 “본래 우주과학자가 되는 게 꿈이어서 로켓에 관심이 많았다”며, “실제로 연구 시설을 둘러볼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 있는 비결은 바로 물고기를 닮은 외모예요. 물고기는 앞부분부터 곡선을 그리다가 뒤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유선형’을 이루고 있어요.그 결과 앞으로 나아갈 때 부딪히는 물이 몸의 곡선을 따라 흘러가며 물고기가 받는 물의 저항이 줄어들지요. 그럼 물의 방해를 덜 받아 더 빠르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 2, 3, …, 9초”미션카드를 본 오로라는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울리기까지 시간을 잰 뒤 말했어요.“번개가 치고 천둥소리가 울리기까지 9초, 소리의 속력인 340m/s를 곱하면 우리 위치에서 천둥이 친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어.“그렇다면…, 3060m 떨어진 곳에서 천둥이 쳤어!”오로라의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종이 기둥 집.종이 기둥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다 쓴 뒤 다시 재활용할 수도 있어요. 또한 저렴하게 건물을 지을 수도 있지요. 반 시게루는 이런 장점들을 활용해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건물을 짓기로 마음 먹었답니다.실제로 1995년 일본 고베에서 대지진이 ...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빨라요.종이를 만드는 과정도 단순해요. 나무는 리그닌을 제거한 뒤 섬유를 하얗게 만들어야 하는데, 홍조류는 가열만 해도 하얀색 홍조 섬유가 나오거든요. 홍조 섬유는 셀룰로오스보다 가늘고 촘촘해서 홍조류 종이는 일반 종이만큼 질기면서도 표면이 고르답니다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것! 연구팀은 이 얼룩날개모기 3종이 자손을 낳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뒤, 아프리카에 풀면 11세대 만에 모두 불임 모기로 바꿀 수 있다고 밝혔어요. 유전자 변형 모기를 야생 모기와 교배시켜 후손을 불임모기로 만들면, 이 불임모기들이 점점 많아져 결국 멸종에 이른다는 거예요. 하지만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포집기에는 미세먼지가 잡혔을까요?“어! 여기, 미세먼지가 보여요!”드론 비행을 마친 뒤 다시 연구실로 돌아와 현미경으로 포집기에 단 필터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현미경에서 동그란 미세먼지가 보였지요. 이렇게 필터에서 미세먼지가 관찰되면 훨씬 배율이 높은 전자현미경으로 세밀하게 ...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이용해 ‘갑의지(甲衣紙)’라는 갑옷을 만들기도 했어요. 종잇조각을 여러 겹으로 겹친 뒤 이를 옷에 붙여서 만든답니다. 이때 종이엔 옻칠을 해서 단단하면서도 물에 젖지 않게 만들었지요. 옻칠을 한 종이는 내구성이 좋아서 대야로 만들기도 했어요.종이 찌꺼기가 플라스틱으로!종이를 만들 때 ... ...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한 면적에 높이가 0.65mm인 미세 바늘 100개가 돋아 있는 모양이에요. 패치를 팔목에 붙인 뒤 20분이 지나면 바늘이 녹으며 안에 들어 있던 백신이 피부로 주입되는 원리지요. 패치의 미세 바늘은 설탕 성분으로 만들어져서 사람에게 해롭지 않아요. 또 바늘이 워낙 얇고 작기 때문에 신경세포가 통증을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