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 주는 생생한 사막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과학동아천문대 천문대장님과 함께 우주를 직접 관찰해 볼까요?”강연회를 마친 뒤, 기자단 친구들은 옥상에 있는 과학동아천문대로 이동했어요. 망원경을 통해 맨눈으로는 보지 못했던 달의 크레이터와 목성, 직녀별을 관찰할 수 있었답니다.행사에 참가한 김민솔(서울 예일초4) 친구는 “평소에 ... ...
- 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수 있는 비결은 바로 물고기를 닮은 외모예요. 물고기는 앞부분부터 곡선을 그리다가 뒤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유선형’을 이루고 있어요.그 결과 앞으로 나아갈 때 부딪히는 물이 몸의 곡선을 따라 흘러가며 물고기가 받는 물의 저항이 줄어들지요. 그럼 물의 방해를 덜 받아 더 빠르고,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안 주는 여름우리나라의 폭염도 점점 강해지고 있어요. 예전의 폭염은 보통 장마가 끝난 뒤인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한 달 동안 나타났어요. 그런데 2014년부터는 봄인 5월에 폭염 주의보가 발령되기 시작해서, 가을인 9월에도 나타나고 있지요. 폭염이 빨라지고 길어진 거예요.여기에 열대야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20년, 한국형 발사체를 우주로! 나로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제가 나로호를 발사시켰어요!”박상준 기자는 버튼을 눌러 발사체에 연료를 공급한 뒤, 나로호를 성공적으로 발사시켰어요. 우주과학관 한켠에서 한국의 과학로켓 역사를 살펴보던 서영아 기자는 “본래 우주과학자가 되는 게 꿈이어서 로켓에 관심이 많았다”며, “실제로 연구 시설을 둘러볼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포집기에는 미세먼지가 잡혔을까요?“어! 여기, 미세먼지가 보여요!”드론 비행을 마친 뒤 다시 연구실로 돌아와 현미경으로 포집기에 단 필터를 조사했어요. 그 결과 현미경에서 동그란 미세먼지가 보였지요. 이렇게 필터에서 미세먼지가 관찰되면 훨씬 배율이 높은 전자현미경으로 세밀하게 ...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폴리머가 수축하면 납작했던 판이 선을 따라서 스스로 접히기 시작한답니다. 4분 뒤에는 완전히 모양을 갖춰서 네 발로 움직이는 로봇이 되지요.◀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이상영 교수팀은 종이를 이용해 접을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들었다.최근 연구팀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여러 개의 로봇을 하나의 ...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못한답니다.모기에게 물렸다는 사실을 알아차리는건 대부분 모기가 이미 날아가 버린 뒤예요. 우리 몸은 모기가 주입한 침을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로 여겨요. 그래서 몸에 들어온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요.바로 이 면역 반응 때문에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며 가려워진답니다 ... ...
- 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짓는다? 종이건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종이 기둥 집.종이 기둥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다 쓴 뒤 다시 재활용할 수도 있어요. 또한 저렴하게 건물을 지을 수도 있지요. 반 시게루는 이런 장점들을 활용해서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건물을 짓기로 마음 먹었답니다.실제로 1995년 일본 고베에서 대지진이 ... ...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한 면적에 높이가 0.65mm인 미세 바늘 100개가 돋아 있는 모양이에요. 패치를 팔목에 붙인 뒤 20분이 지나면 바늘이 녹으며 안에 들어 있던 백신이 피부로 주입되는 원리지요. 패치의 미세 바늘은 설탕 성분으로 만들어져서 사람에게 해롭지 않아요. 또 바늘이 워낙 얇고 작기 때문에 신경세포가 통증을 ... ...
- [과학뉴스] 스스로 물 정화하는 초소형 로봇, 야누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이 입자를 반으로 나눠 한쪽에는 마그네슘을, 반대쪽에는 금과 철을 층층이 쌓은 뒤 은 나노입자를 입혔지요. 그 모습이 로마 신화에서 두 개의 얼굴을 가진 수호신 ‘야누스’와 같아서 야누스로 불리게 되었어요.●nm : 나노미터, 10억분의 1m.마그네슘이 물과 반응하면 수소 방울이 만들어지는데, ... ...
이전3593603613623633643653663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