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살아 있는 대장균이 들어간 운동복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않았답니다.연구를 이끈 왕 웬 연구원은 “운동복을 입고 직접 운동을 해 보니 마치 등 뒤에 에어컨을 단 것 같았다”며, “발바닥의 땀을 제거해 주는 러닝화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읽었거든요. 그 부족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수박씨를 빻아 피부에 바른다는 거예요.그 뒤 수박씨에 어떤 성분이 있길래 피부 보호에 도움을 주는 건지 조사해 보았어요. 그때 수박씨에는 단백질, 당분, 지질 등이 풍부하단 사실을 알아냈죠. 그러던 중 중학교 1학년 때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진피에 접종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경피용은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뒤 9개의 바늘이 달린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강하게 눌러 접종한다. 그래서 접종 직후 18개의 작은 자국이 남는다. 피내용 BCG 백신은 정확한 양을 주사할 수 있으며, WHO에서 추천하고 있다. 반면 ... ...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주머니가 형성됐다. 실온에서 물에 담긴 DAP는 다양한 형태의 아미노산을 인산화시킨 뒤 짧은 펩타이드 사슬로 분자를 연결시켰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DAP가 여러 형태의 당을 효율적으로 인산화시켜 ‘인 함유 탄수화물’을 만들 수 있음을 보였다. 인 함유 탄수화물은 초기 생명체 형성에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분하기 때문이다. 딥미러의 성능이 궁금해졌다. 딥미러에게 기자의 이름을 알려준 뒤 카메라에 얼굴을 가까이 댔다. “이정아, 94%”라고 뜬다. 윤 책임연구원은 “70% 이상이면 본인으로 인식한다”며 “딥미러의 얼굴 인식률은 1000명 기준 99% 이상으로 꽤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는 미간에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력을 쌓았다는 알파고 ‘제로(Zero)’가 발표됐다. 알파고 제로는 고작 사흘을 학습한 뒤 이세돌 9단을 물리친 알파고를 100대 0으로 이겼다. 인류가 수천 년에 걸쳐 축적한 바둑 실력을 스스로 돌파한 지능은 과연 어느 정도로 똑똑할까. 인간의 직관이나 자의식이 어떤 원리로 발현되는지 알고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등이 포함됐다. 특정 기간 논문의 평균 인용 횟수를 파악하고(피인용횟수), 논문 발표 뒤 10년간 피인용도가 상위 1%에 해당하는 논문 수를 조사하며(고피인용도 논문 수), 논문이 발표된 해에 얼마나 빨리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용됐는지(즉시성 지수) 등을 통해 논문의 질적 수준을 일차적으로 판단할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HIV의 ‘역전사효소’를 억제한다. HIV는 숙주 세포에 침입해 자신의 RNA를 DNA로 역전사한 뒤 숙주 세포의 DNA에 끼어 들어가 증식한다. 우리 몸의 세포가 HIV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바뀌는 셈이다. 그런데 역전사효소를 억제하면 HIV가 증식할 수 없게 되고, 비감염인은 결과적으로 HIV에 감염되지 않는다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모든 것의 기원인 ‘빅뱅’이다. 빅뱅에서 우주가 시작하고 우주에서 물질이 만들어진 뒤 물질에서 인간이 탄생하고 인간이 문명을 이룩한 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룬다. 일상에서 겪을 수 있는 친근한 이야기들을 활용해 독자 스스로 판단하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과학,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 주제는 생명과학 영역인 단백질이다. 박사학위를 받고 1991년 한국에 돌아온 뒤, 평생 연구할 수 있는 주제를 찾던 중 단백질이 눈에 띄었다. 단백질 연구에 물리학의 연구 기법을 적용하면 어떨까. 최근 과학계의 화두인 융합연구를 장 교수는 1999년부터 시작했다. 신경망 신호전달 과정 ...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