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뒤"(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일본 대지진의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채널A l2013.04.25
-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 - 채널A 제공 고스 위성은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고 30분 뒤 태평양 상공에서 처음 음파를 감지했고, 이후 25분이 지나서 지진파가 유럽을 지나갈 무렵 한차례 더 약한 신호를 포착했습니다. 고스 위성은 지구 중력 연구를 위해 유럽우주국이 발사한 것으로 다른 저궤도 위성에 ...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일어나는 상온에서도 양자 결맞음이 일어난다고 볼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몇 달 뒤 다른 광합성 박테리아에서 추출한 분자로 영하 93℃에서 양자 결맞음 현상을 관찰하는데 성공했고 2010년 마침내 상온에서도 성공했다. 이제 광합성의 양자 결맞음을 의심하는 사람은 거의 없고, 생물학에서 ...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AMS는 다행히 2011년 5월 우주왕복선 인데버호에 실려 우주정거장에 무사히 설치됐고, 그 뒤 우주에서 오는 우주선(cosmic ray)을 검출해 데이터를 모았다. AMS의 최대 강점은 내부에 지구 자기장의 3000배에 이르는 자기장이 형성돼 전하를 띤 입자의 이동궤적을 크게 휘게 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용기에 넣고 물을 붓고 저으면서 끓이다가 거품이 일어날 때 잔에 따러 가루를 가라앉힌 뒤 마시는 방식이다. 그리스식 커피는 맛과 향이 상당히 강하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쿰머는 책에서 이 커피의 이름을 부를 때 조심하라며 터키에서는 터키식 커피(Turkish coffee)라고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중해 ...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범주에서 벗어난 게 툭 튀어나올 수도 있다는 것. 아무튼 네안데르탈인 게놈 유입 확인 뒤에도 분자유전학의 도움을 받은 고인류학은 연이어 엄청난 발견들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10월 12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은 그 정점으로,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수만 년 전 미지의 인류 ...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가리개 창 가운데 놓인 상태에서 전자가 검출된 경우로 가장 완벽한 파동성을 보인다. 그 뒤 가리개가 이동하면서 슬릿1이 닫히자 다시 입자로도 설명할 수 있는 연속적인 분포패턴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전자총의 세기를 극도로 줄여 1초에 전자 하나 꼴로 내보내게 했다. 그리고 두 ...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긴 DHA(탄소수 22개)가 EPA(20개)나 ALA(18개)보다 효과가 월등하다는 것. 참고로 오메가 뒤의 숫자는 지방산의 카르복시기(-COOH)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그리스 알파펫의 마지막이 오메가(ω)다) 탄소를 1로 해서 순서대로 번호를 붙였을 때 처음 이중결합이 나오는 탄소의 위치다. 이 미스터리에 대한 첫 ...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노력과 상당한 자금이 투입된 약물이 10%도 안되는 확률의 안전성 시험까지 통과한 뒤에도 최종 임상에서 약효가 기대에 못 미쳐 탈락하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최근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많은 질병의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아까운 탈락자들 가운데서 ‘흙속의 진주’를 발견할 가능성이 ...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풍부하다. 초유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역시 아기의 면역력을 높이는 데 있다. 출산 뒤 3~7일 사이의 모유는 과도기적이다. 초유에 비해 영양분인 지방과 카제인 단백질, 젖당의 함량이 높아지고 면역성분이나 모유올리고당은 줄어든다. 출산 2주 이후에 나오는 젖은 전형적인 모유로 아기의 성장에 ...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독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반물질’ 도입부에서 이 사건을 소개한 것으로 보이는데 뒤에 퉁구스카 사건이 반물질과는 무관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렇다면 유성체보다 훨씬 큰 소행성이 폭발했는데 왜 흔적이 남지 않았을까. 명쾌한 답은 아니지만 설명할 수는 있는데, 충돌하는 물체가 어떤 ... ...
이전3843853863873883893903913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