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오스트리아 국적의 유명한 물리학자 두 사람이 있다. ‘S=klogW’, 일명 볼츠만 방정식으로 유명한 통계역학의 아버지 루드비히 볼츠만과 양자역학을 ... 아니었지만 자원입대를 했다. 그리고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지만 치료를 받고 회복된
뒤
다시 전장에 뛰어들었고 1915년 10월 7일 전사했다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
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라는 말부터 잘못 지은 이름이라는 것. 고세균은 세균보다도 오래 되지 않았고 그
뒤
평범한 환경에서 사는 고세균도 여럿 발견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 우즈도 1990년 논문에서 새 용어 Archaea(번역어로는 여전히 고세균)를 썼는데 부적절한 고(archae)를 고집하고 있어 이해할 수 없다는 것. 차라리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비용이 같아지는 시점은 100여년
뒤
이고, DNA합성 비용이 100분의 1로 떨어지면 10여 년
뒤
에는 비용이 같아지는 것으로 나온다. DNA 정보 저장 실용화가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DNA이중나선 구조가 발견 60주년을 맞이하는 2013년, DNA는 생명의 정보뿐 아니라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 거듭 태어나고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표면에서보다 100배나 더 높았고 이를 백신으로 써서 실험동물에 주사했다. 그
뒤
다양한 독감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결과 항체를 충분히 만든 동물들이 이를 이겨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면 효과적인 범용독감백신이 실현될 수도 있다. ●평생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증가다. 중국은 2000년 이후 거의 3배가 늘어났고 인도는 2배 늘었다. 이 추세대로라면 10년
뒤
두 나라의 수요는 현재의 2배가 될 것이라고 한다. 1990년만 해도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이 세계 에너지의 3분의 2를 차지했는데 지금은 절반이 안 된다. 나라별 에너지 사용량을 보여주는 원형 그래프를 보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편 리보솜에서 eIF-4E라는 개시인자가 달라붙어 번역을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는 사실이
뒤
에 밝혀졌다. 샛킨은 갓과 관련된 연구를 계속했는데 그의 마지막 논문은 2011년 발표한, 갓을 만드는 효소의 X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샛킨은 뛰어난 연구자이며 동시에 탁월한 멘토였는데 그 자신 가장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참여했다. 그
뒤
학교로 돌아와 1951년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브리튼은 생물학으로 관심을 돌려 카네기연구소에서 생물리학을 연구했고 1971년 칼텍으로옮겼다. 물리학자의 관점으로 생명현상을 바라본 브리튼은 DNA 이중나선이 온도에 따라 풀리고 엮이는 과정을 분석해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베일은 그러나 하와이 하나의 자택에서 친구들과 흥겨운 저녁시간을 갖고 잠자리에 든
뒤
영원히 깨어나지 못했다. 8. 데이비드 세이어 (1924. 3. 2 ~ 2012. 2.23) 컴퓨터 언어도 개발한 결정학 개척자 1924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데이비드 세이어(David Sayre)는 영재여서 19살에 예일대(물리학과)를 졸업했다.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발표됐다. 이는 효과가 있다는 2001년(선충)과 2004년(초파리) 연구결과를 정면으로
뒤
집는 내용이다. 실험 설계의 중요성 왼쪽 사진은 2009년 발표된 위스콘신국립영장류연구소 실험에 참여한 붉은털원숭이들의 모습이다. 대조군과 칼로리 제한군의 전형적인 원숭이 모습으로 나이는 28살로 같지만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그도 처음에는 필경사를 고용하여 필사작업으로 책을 만들었고 필사의 문제점을 알고 난
뒤
목판 인쇄로 방향을 바꾸었다. 목판 인쇄보다 개량된 방법을 찾다가 발상의 전환을 통한 목활자 인쇄를 시도했지만 이 역시 문제점이 많았다. 구텐베르크는 목활자 인쇄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 ...
이전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