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Law)’이라고 하는데, 수많은 실험으로 검증된 원리다.예컨대 1km 길이의 교량을 설계한 뒤 1m로 길이를 줄인 모형으로 풍동실험을 한다고 가정하자. 우선 기하학적인 모양을 똑같이 만든다. 상사법칙에 따라, 비율을 줄였을 때 모형이 가져야 하는 질량과 교량 각 부위의 진동 주기 등을 계산해 만든다.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전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소아백혈병의 경우 조혈모세포를 채취해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해야 한다. 신 부총장은 “고가의 디지털 현미경 대신 일반 현미경에 스마트폰을 연결해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해 공급했다”며 “휴대전화로 찍은 사진을 보내면 수시로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시멘트 결합재를 개발하고 있다.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플라이 애시(석탄을 태운 뒤 남는 석탄회), 철강 제철소에서 나오는 고로 슬래그를 재활용한다. “지금까지는 이 재료들을 시멘트처럼 굳힐 때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했어요. 하지만 강한 염기성 용액이라 위험하고, 시멘트보다 2~3배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분야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수상자 130여 명 중 40명이 평균 5년 뒤 노벨상을 받아 ‘예비 노벨상’이라고도 불립니다.올해 수학 부분 수상자는 리처드 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수학과 교수와 찰스 페퍼먼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쉔 교수는 도형의 각을 ... ...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은 다이빙 선수의 몸통과 팔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방정식을 만든 뒤,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왼쪽과 오른쪽 손을 각각 위·아래로 뻗은 뒤, 다시 순서를 바꿔 아래·위로 뻗으면 몸의 회전율이 커졌습니다. 1.8초 안에 공중제비를 한 바퀴 반 돌 수 있고, 몸 비틀기 동작은 ... ...
- [수학뉴스] 사랑이 피어나는 미분과 적분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곡선으로 이뤄진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 도형을 다각형 모양으로 아주 잘게 쪼갠 뒤 각 넓이를 구해 더한 거예요. 이렇게 보니 미분과 적분은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죠. 그런데 왜 항상 함께 다니는 걸까요?미분과 적분은 서로 관련 없이 정의되고 발전했어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가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찾아나가는 연구를 시작해야 해요. 이런 변화가 처음에는 무척 어려웠지만, 익숙해진 뒤에는 수학이 더욱 즐거워졌어요.프린스턴에서는 수업 주제가 비밀이라고요?대학원에서 이루려는 목표는 ‘연구’잖아요. 제가 다녔던 프린스턴은 어느 대학원보다도 그 부분을 강조하는 곳이에요. 제가 다닐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합의가 필요하다. 보험사에서는 기관들이 제출한 서류와 계약 조건이 맞는지를 확인한 뒤 비로소 보험금을 지급한다.만약 보험사가 계약 내용을 코드화해 블록체인에 저장했다면, 이 모든 합의 과정에서 사람이 할 일은 없다. 병원이 진단서를 전자문서로 만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리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액체가 기체로 변하면서 에너지를 사용해서 온도가 유지되다가 상태가 모두 변한 뒤에 다시 온도가 높아진답니다.지구는 물의 행성이에요. 지구 표면의 70%를 물이 덮고 있거든요. 물이 있는 덕분에 많은 생명체들이 살 수 있어요. 그런데 지구의 물을 모두 모으면 얼마나 될까요?미국지질조사국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영상의 해상도는 높아진다. 그리고는 공간광변조기(SLM)로 씨스루 스크린의 앞이나 뒤로 상을 띄웠다. 그 결과 3D영상의 입체감과 함께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 교수는 “피로감이 없는 홀로그램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앞유리에 도로의 상황과 정보가 ... ...
이전4084094104114124134144154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