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DJ CHO의 롤링수톤] 우주로 떠난 머큐리의 여정 '퀸의 39'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남아있습니다. 우주인 쌍둥이가 빛의 속도만큼 매우 빠른 우주선을 타고 우주여행을 한
뒤
지구로 돌아왔을 때, 우주인 쌍둥이는 자기보다 훨씬 늙어버린 쌍둥이 형제를 보고 놀랍니다. 가능한 얘기일까요?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가속도가 커지면 시간이 느리게 갑니다. 우주선을 타고 여행할 때 ... ...
[과학뉴스]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번째로 대항하는 세포의 발현이 달랐다.연구팀은 암컷들을 나눠 서열을 다시 만들게 한
뒤
면역세포의 활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서열이 높아진 암컷은 이전에 높은 서열이었던 암컷과 비슷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또 이들의 백혈구를 병원균과 섞었을 때 서열이 낮은 암컷의 ...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때보다 액체일 때 물 분자의 수소결합이 약하다는 점에 착안해, 얼음 표면에 적외선을 쏜
뒤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영하 38℃에서 이미 얼음 표면의 분자 층 하나가 준 액체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서서히 온도를 높이자 영하 16℃에서 두번째 분자 층이 준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원한다면 인간의 합리적 행동 방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먼저 도출해야 한다. 20년
뒤
쯤에는 사람보다 더 안전하고 합리적이며 융통성 있게 운전하는 자동차가 탄생해, 사람이 직접 운전하는 일을 금지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오늘날 우리 삶의 일부가 된 스마트폰을 포함해 이미 100억 개가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현재의 컴퓨터는 주어진 논리대로 전류 신호를 연산한
뒤
결과를 참 아니면 거짓으로 출력한다. 연산 결과가 0이거나 1일 때만 답을 내릴 수 있다. 0.5나 0.7은 답을 내릴 수 없는 계산 오류다. 하지만 컴퓨터가 이해하는 논리적인 상태가 늘어나면 컴퓨터가 내릴 수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이다.적색야계의 원산지와 최초의 집닭이 남긴 흔적을 찾아 고고학자들은 지층을
뒤
지기 시작했다. 고고학자들은 논란 끝에 인도와 파키스탄 접경지역의 산속이라는 답을 내놨다.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닭뼈가 발견된 곳으로서 방사성 원소 연대 측정법을 통해 4000년 전에 살던 닭의 뼈로 확인됐기 ... ...
[Culture] 11분의 1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남선 오빠는 얼른 저를 피해 도망쳤습니다.그날 기준 오빠가 저를 가볍게 안고, 귀
뒤
로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넘겨주며 말했습니다.“너는 오지 않아도 괜찮아. 나는 널 한 번 더 본 것만으로 그 추운 곳에 가서 죽을 수 있어.”저는 기준 오빠의 기계로 교체되지 않은 허벅지 쪽에 앉아 있었습니다. ... ...
[도전! 코드마스터] SW를 지켜라 백신 프로그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파일을 담아 두는 도구인 ‘디스켓’을 통해 바이러스가 퍼졌기 때문에 디스켓을 사용한
뒤
바이러스를 검사하면 됐어요. 그런데 인터넷 사용량이 늘어난 21세기에 들어서는 바이러스나 악성코드가 네트워크를 통해 급격하게 퍼지기 시작했어요. 랜선을 꽂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기만 해도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실험을 한 결과입니다.연구팀은 수조 양쪽에 물고기 네 마리와 여섯 마리를 각각 가둔
뒤
구피를 수조에 넣고 어디로 향하는지 관찰했습니다. 물고기가 많이 모여 있는 곳에 숨으면 포식자를 잘 피할 수 있거든요. 다음에는 크기가 큰 먹이와 작은 먹이를 같은 수만큼 수조 양쪽에 두고 같은 실험을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수 없었다. 누군가에게 사진을 보여주려면 빛이 없는 곳에 잘 보관해 뒀다가 슬쩍 보여준
뒤
얼른 다시 빛이 없는 곳에 가져다 놔야 하는 우스꽝스러운 일이 생기는 것이다.1839년 프랑스인 루이 다게르는 소독제나 방부제로 쓰이는 ‘옥화은’을 이용해 새로운 사진술 ‘다게르타입’을 개발했다. ... ...
이전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