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에서 의사가 되는 방법은?
과학동아
l
201001
과정 동안 3단계로 나눠 치릅니다. 외국인의 경우 1, 2단계 외에 토플과 CSA 시험을 치른
뒤
ECFMG 자격증을 획득해야만 3단계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 다소 까다로운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개방적인 성향을 갖고 있으면서 어학에도 소질이 있는 학생이라면 유학을 통해 해외에 진출하는 것도 좋은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01
2010년부터 영재학교로 전환된 경기과학고를 포함해 한국과학영재학교에 복수지원한
뒤
2단계 전형을 타 영재학교에 응시했기 때문이다. 2011학년도에는 영재학교가 모두 4개로 늘어나며 입학 인원도 크게 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영재학교를 지망하는 수학·과학 상위권의 입시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01
자라며 갓 지름이 약 1cm, 길이는 2~3cm로 작다.이들은 봄에서 가을에 걸쳐 자라며 비 온
뒤
에 나타나는데, 햇살이 내리 쬐면 먹물을 뿌려 놓은 듯 검게 녹아내리면서 없어진다고 한다. 캥거루 가족은 춤이나 노래보다 뜀뛰기가 좋다. 캥거루는 뒷다리가 크고 힘이 세며, 앞다리는 비교적 짧다. 꼬리는 70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01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
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서 깜깜한 밤에도 하얗게 빛을 발하는 것이다.2007년 발사된 AIM은 북위 60~85° 상공에서 1년 내내 야광운을 관찰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야광운이 얼음 알갱이나 화산에서 분출한 ... ...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01
색채를 더 짙게 하거나 다른 색을 덧입히기도 한다.후두덮개 조직은 올세인으로 염색한
뒤
관찰해 붉은색을 띠지만, 포토샵으로 녹색을 띠게 만들었다. 세포가 알알이 모여 있는 모습이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사과 같다. 메드아트는 녹색을 띠는 후두덮개에서 클림트가 그린 풍성한 사과나무를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01
갈릴레오는 1989년 10월 발사돼 6년이 넘는 여행 끝에 1995년 12월 목성에 도착한
뒤
2003년까지 목성 주위를 돌며 2003년 9월 목성과 충돌해 사라질 때까지 목성 대기에서 암모니아 구름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이오의 화산활동과 유로파의 얼음층 아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약 8년 동안 3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01
작은 인조 잠자리 눈을 개발하기도 했다. 지름이 1μm인 유리구슬을 물속에 분산시킨
뒤
크기가 40μm 정도인 기름방울을 넣자 물과 기름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유리구슬이 기름방울의 표면으로 이동했다.또 유리구슬이 빼곡하게 달라붙은 기름방울에 자외선을 쪼여 단단하게 만들자 수천 개의 ... ...
진화의 실험실, 갈라파고스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퍼져서 수개월간 햇볕이 사라졌다면 생물들이 거의 전멸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
뒤
에 온 생물들로부터 진화의 증거를 찾을 수 있게 되었을 것이다.갈라파고스처럼 지열이 29℃ 이상인 곳에서는 거북의 알에서 부화되는 새끼들이 주로 암컷이라고 한다. 이처럼 화산활동은 생물의 진화에 영향을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01
10개 국어에 능통한 동시통역사이신 고모님에 따르면 처음 3~4개 언어가 어려울 뿐 그
뒤
로는 구조와 원리를 알면서 언어를 익히는 게 쉬워졌다고 합니다.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큰 그림을 그리면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01
실용적인 측면에서 수학이 발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원 2개를 동일한 크기로 12조각 낸
뒤
그림과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잘라 붙인다. 만들어진 사각형의 넓이에 $\frac{1}{2}$을 하면 원의 넓이가 나온다. 이 방법으로 원의 넓이를 구하면 실제값과 차이가 있다. 하지만 원을 무한히 조각 내 위와 같은 ... ...
이전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