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같이 비를 많이 맞는 곳에는‘WPC’라는 재료를 쓴다. WPC는 나무를 갈아 입자로 만든
뒤
플라스틱 물질과 섞어서 나무 모양으로 만든 재료로, 썩지 않기 때문에 오래 쓸 수 있다.나무는 재주 많은 재료!“나무가 아무리 튼튼하고 잘 썩지 않는다 해도 다른 재료보다 우수한 점이 없으면 집에 굳이 쓸 ... ...
그림이 살아 있다! 마술액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마술처럼 움직이는 그림을 만들어 봐요.1832년 벨기에의 조셉 플레토는 구멍을 뚫은 원판
뒤
에 16장의 그림이 그려진 원판을 넣고 돌리는 기구인 ‘페나키스티스코프’를 만들었습니다. 원판에 뚫린 구멍을 통해 보면 그림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죠. 애니메이션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기구입니다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들어왔다고 가정해 보세. 만약 100개의 알이 90%만 깨어 성충이 되어 다시 알을 낳으면, 5년
뒤
에는 5조 마리가 넘는 꽃매미가 생기게 되네. 조수원 교수와의 토론이 끝나기가 무섭게 명탐정 P한테 긴급 전화가 걸려 왔다. 국립농업과학원 김광호 박사였다. 김 박사는 꽃매미가 중국으로부터 온 ... ...
“뇌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사람이 어떤 질문을 하면 그에 따른 특정한 뇌파를 내보냅니다. BMI로 이 뇌파를 인식한
뒤
컴퓨터로 분석해 음성으로 만들면 강아지도 말을 하게 되는 것이죠. 실제로 2008년 말 한림대 의대 신형철 교수 연구팀은 닥스훈트종 강아지와 대화를 나누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름을 물으면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가장 앞서 있는 나라는 달 착륙 경험이 있는 미국입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 역시 미국에
뒤
지지 않으려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유럽 연합은 2003년 달 탐사 위성 ‘스마트-1’을 발사했고, 2007년에는 일본이 ‘가구야’를 달에 보냈습니다. 중국도 2007년에 ‘창어1호’를 성공적으로 달에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도시의 모형을 이용한다. 500분의 1에서 1000분의 1 정도로 축소한 모형에 바람을 불어 준
뒤
센서를 이용해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때 실제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바람의 속도와, 모형의 같은 지점에서 측정한 속도를 비교해 바람의 속도를 계산한다. 지난 4월 전북대학교에 국내 최대이자 ... ...
[인터뷰] 333법칙으로 공신이 되자!
수학동아
l
200912
경시대회에 나갈 수 있는 발판도 되니 참여해 보세요.”수학은 앞의 내용을 모르면
뒤
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수준에 따라 공부 방법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하위권이라면 문제가 적은 기본서로 공부하는 습관을 만들고 점차 공부하는 시간을 늘립니다. 또 복습을 하면서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12
1, 4, 7, 10월은 31일 나머지 달은 30일이었습니다. 남는 하루와 윤일은 각각 12월과 6월의 맨
뒤
에 요일이 없는 날로 붙였습니다.이 외에도 그레고리력의 대안으로 등장한 달력은 무수히 많습니다. 제각기 장단점이 있지만, 아직 그 어떤 달력도 현재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을 대체하지 못했습니다. ... ...
자선냄비는 곱셈의 마음
수학동아
l
200912
1000명이 넘는 사람들에게 식사를 제공할 만큼 충분한 돈이 모였습니다. 이 일이 있은
뒤
자선냄비는 점차 미국 전역으로 퍼졌습니다. 이웃을 도우려는 한 명의 따스한 마음이 매년 성탄절이면 들려오는 자선냄비의 종소리가 되어 전 세계에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선냄비 숫자와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12
milkweed bug)이라는 긴노린재과 곤충의 혈액에 D-알라닌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뒤
포유류에서도 D-아스파트산과 D-세린이 발견됐으나 아직 그 기능이 완벽히 규명되지는 않은 상태다. 이 분야의 연구가 미흡하기는 하나 현재까지 밝혀진 D-아미노산의 생명체 내 기능은 다음과 같다.먼저 D ... ...
이전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