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
과학동아
l
200912
이광연 교수는 성균관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미국 와이오밍주립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아이오와대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현재한서대 수학과교수로 재직 중이며,‘웃기는 수학이지 뭐야’‘신화 속 수학이야기’‘수학 블로그’ 같은 책을 펴냈다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12
한 주를 기다리며 다음 이야기를 상상한다.그런데 만약 시청자들이 이 장면을 미실의 등
뒤
에서 볼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2차원 평면의 화면이 아닌, 360˚전 방향에서 대상을 볼 수 있는 3차원 실감영상이었다면 시청자들은 미실의 화살이 어디로 향해 있는지 알 수 있지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가운데 하나만 합성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며 “이 방법은 거울분자 쌍을 합성한
뒤
분리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화학자들이 생명체의 도구를 빌려 좀 더 정밀한 거울분자의 세계를 열어가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12
때만 자유롭게 행동하도록 훈련했다.그레이비엘 박사팀은 원숭이에게 출발 신호를 준
뒤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원숭이가 움직일 때 뇌의 전전두엽과 선조체라는 두 영역에서 마치 시계처럼 일정한 주기로 활성화되는 신경 다발을 발견했다. 이 두 영역은 모두 학습과 움직임, 사고 조절에 관여하는 ... ...
연꽃잎에 이슬 맺히지 않는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0912
있다. 첸 박사는 “발전소에서 열을 전달하는 파이프 표면을 연꽃잎과 같은 원리로 만든
뒤
적절한 진동을 주면 파이프의 방수성과 열전달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물리학 분야 학술지‘피지컬 리뷰 레터스’ 10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12
미세물질을 걸러내는 깃세포 부분.데후에이 박사는 “해면은 다량의 바닷물을 흡수한
뒤
그 안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먹기 때문에 독소나 병원체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체내에 독소를 남기기 않기 위해 깃세포를 빠르게 증식시키는 동시에 떼어내 버리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연구진은 이런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12
때의 힘은 1t으로 누르는 힘보다 크다. 따라서 멧돼지를 자극하지 말고 나무나 바위
뒤
에 숨어서 몸을 가리도록 한다. 그렇다고 등을 보이며 빨리 달아나서도 안 된다. 이 경우 야생동물은 직감적으로 상대가 겁을 먹었다고 느끼고 공격하기 때문이다. 우제목(牛蹄目) 멧돼지과에 속하는 멧돼지(Sus ... ...
“북한과의 과학기술 교류, 모험연구 장려 앞장선다”
과학동아
l
200912
북한과학원의 려철기 교수를 만나면서 북한의 IT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됐다. 그
뒤
2000년 평양 김책공업종합대와 평양정보센터에서 특강을 했고 7년간 평양정보센터와 공동연구를 추진했다.그가 평양과기대와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2001년 연변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하러 갔다가 연변과학기술대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12
전류 흐름을 교란한다. 연구팀은 PEDOT:PSS라는 전도성고분자를 먼저 단분자막 위에 덮어준
뒤
그 위에 금을 증착시키는 방법을 고안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전극 사이의 전압을 올리자 어느 순간 분자 고리에 전자가 포획되기 시작했다.“놀랍게도 이렇게 잡힌 전자는 전원을 끊어도 약 300초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12
위해 에어 스크러버를 고안했고 이에 대해 아버지에게 조언을 구한 것. 랙커 교수는 그
뒤
부터 에어 스크러버를 연구하고 있다.에어 스크러버는 CCS 기술을 도입한 발전소와 달리 아무 데서나 이산화탄소를 포획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이산화탄소는 배출량이 지역마다 다르지만 대기 중 농도는 ... ...
이전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
424
다음
공지사항